경제·금융

[S안전인증이 국제경쟁력] 정호근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S마크는 수출효자""소비자의 안전을 생각하지 않은 상품은 성능이 아무리 우수해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생산시설도 다를 바 없지요. 작업환경에 문제가 있는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정호근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 "과거의 안전인증은 정부규제 차원에서 실시됐으나 지금은 민간기업 간의 자율규제로 변하고 있다"면서 "공단에서 실시하는 'S마크 안전인증제'는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이는데 꼭 필요한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S마크 안전인증제는 노동부의 산업안전 선진화 3개년 계획에 따라 지난 97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시스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회사측에서 임의로 신청하는 제도. 산업현장에서나 소비자들이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ㆍ제작되도록 함으로써 불의의 재해와 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고 있다. 인증대상은 산업용 기계나 기구에서부터 반도체 제조장비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매우 넓다. 2000년 말 현재 총307개 업체가 1,638건을 신청, 그 중 119개사(645건)가 인증을 받았다. 정 원장은 "98년의 경우 101건을 신청 받았지만 지난해는 무려 852건으로 늘어났다"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의 NIKON(주)ㆍIBM(주)ㆍ동경일렉트론(주)ㆍ히다찌(주), 영국 BOC, 네덜란드 ASMI 등 외국 유수기업의 문의도 쇄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처럼 S마크 인증이 국내외적으로 반향을 부르고 있는 것은 제품의 질 향상은 물론, 기업이미지 제고 효과도 크기 때문. 인증시스템이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 체제로 관리되고 있는 것은 이 제도의 강점이다. 실 예로 삼성전자 기흥ㆍ천안ㆍ온양공장 등에서는 기계ㆍ기구를 구매할 때 S마크 인증제품을 필수요건으로 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 S마크는 수출에 효자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인증을 받은 기업 중 41곳을 조사한 결과 750억원 규모를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 원장은 "이처럼 수출경쟁력이 높은 것은 인증과정에서 유럽연합기준(EN)이나 국제기준(ISO, IEC)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S마크를 받은 기업은 해외 인증기관으로부터 별도의 심사를 거치지 않고도 신뢰성을 인정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해외인증을 받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은 1,500만원~2,000만원. 4~6개월이 걸려 중소기업 입장에서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S마크의 경우 비용은 500만원 정도면 되고 기간도 3~5개월이면 충분하다. 인증을 획득한 기업이나 구매자에게 주는 혜택도 적지않다. 기업은 산업안전보건법상 받아야 하는 위험기계ㆍ기구 등의 검정을 면제 받을 수 있으며 구매자는 연리 5%(3년 거치 7년 상환)로 최대 5억원까지 시설자금 융자를 받을 수 있다. "S마크는 국제기준이나 유럽연합 규격보다 선진화된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외국기업의 관심도를 반영, 영문 홈페이지 개설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원장은 "S마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개, 사업장이나 제조자들에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면서 "선진국과 상호 인정제도를 확대, 기업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도록 노력할 것 "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또 "산업안전은 국민복지와 직결되는 요소 중의 하나"라면서 "조직과 인력의 한계가 극복되면 더 많은 일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