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당 대표 나가지 말라"… 박근혜, 당권 룰 판정승

비대위 전당대회룰 당권ㆍ대권 분리 현행 대로 유지키로<br>소장파 요구 대안 수렴 안돼 반발 예상

7ㆍ4 전당대회 룰을 둘러싼 한나라당 내 대권주자 간 파워게임이 사실상 박근혜 전 대표의 판정승으로 끝났다.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거나 적어도 대선주자의 당무 참여를 확대하는 대안을 놓고 한 달간 논의했던 비상대책위원회가 30일 현행 당헌ㆍ당규에 규정된 당권ㆍ대권 분리 등 핵심 쟁점의 원안을 고수하기로 잠정 결론 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당권ㆍ대권 분리, 또는 분리기간 단축을 요구해온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정몽준 전 대표 등 다른 대권주자의 요구가 묵살된 셈이다. 이에 따라 7ㆍ4 전대에서는 대권주자 등 당내 간판급 인사들의 당권 도전이 불가능하게 됐다. 또 당 쇄신과 변화를 위해 구성된 비대위가 지난 한 달 동안 허송세월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정의화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당사에서 "전대 룰과 관련해 합의된 부분은 합의된 대로, 합의가 안 된 부분은 현행 룰을 따르도록 결정한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합의된 내용은 선거인단 규모를 21만명으로 늘린다는 것이다. 대선주자에게 상임고문 등의 역할을 주고 예비 대선후보 등록시점을 현행 대선 240일 전에서 365일 전으로 앞당기는 방안과 당 대표가 최고위원 2명을 직접 지명하는 방안 등 '중재안'은 당헌ㆍ당규소위에 일임하기로 했다. 그러나 의결권 없는 소규모 기구인 소위에서 중재안을 통과시키기는 어렵다는 것이 당내의 중론이다. 정 위원장은 "소위에서 의결하는 것이 아니라 의견을 수렴하면 전체회의에서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했고 소위 위원이면서 중재안을 주장했던 권영진 의원도 "소위에서 뒤집을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날 비대위가 열리는 와중에 박 전 대표는 국회 기획재정위 전체회의에 들어가기 전 기자들과 만나"한나라당 당헌은 수개월 동안 57차례의 공청회를 거쳐 만들어진 것으로 당헌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만한 분은 다 안다"며 '현행 유지'를 재차 강조했다. 당내 일부 의원은 그의 이 같은 입장이 비대위에 입김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한다. 비대위의 한 의원은 "비대위가 박 전 대표의 뜻대로 됐다고 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반면 정 위원장은은 "결론적으로는 그(박 전 대표의 주장)와 유사하게 됐지만 한나라당은 개인의 당이 아니다"라면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