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교육청이 학교 물품 공동구매

로비등 부조리 방지 위해

앞으로 서울 시내 학교에서 공통으로 구입하는 물품은 교육청에서 공동 구매하게 된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 물품 선정 및 구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로비 등 부조리를 막기 위해 교육기자재 등은 교육청에서 일괄 구매해 지원하고 학교가 공통적으로 구입하는 유사한 물품이나 용역사업 등은 지역교육청에서 공동구매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시교육청에서 학교로 예산을 배정하면 학교별로 자율적으로 집행해 물품 구매를 진행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학교들이 일부 업체의 로비에 노출되고 같은 물품을 학교별로 계약해 구매단가가 차이 나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시교육청은 우선 올해 책정된 기자재 예산(급식기자재ㆍPCㆍ체력측정기 등)을 학교로 보내지 않고 공통표준 사양을 적용, 시교육청에서 일괄 구매해 지원할 계획이다. 또 각급학교가 매년 반복적으로 구입하는 공통물품에 대해서도 예산 절감효과가 크고 공통사양 적용이 가능한 분야(교육기자재ㆍ체육용품ㆍ도서ㆍ전산용품 등)부터 지역교육청 단위로 통합 발주할 방침이다. 종전 개별학교는 소량 물품, 기자재(2,000만원 미만) 구입시 특정업체의 조달청 계약 단가로 구매할 수밖에 없었으나, 시교육청의 일괄ㆍ공동구매 방침에 따라 여러 학교를 통합해 대량 구매함으로써 경쟁 입찰이 가능해진다. 시교육청은 이번 조치로 예산 절감은 물론 업체들의 로비 관행을 사전에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통합계약 제도를 조기에 정착시켜 투명하고 효율적인 구매행정을 지원해나갈 수 있도록 통합계약 전자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지속적인 개선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