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생명보험 가입률 30년만에 줄었다

민영부문 3년새 1.2%P하락… 가구당 보험료는 늘어


우리나라의 생명보험 가입률이 30여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22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25일부터 7월10일까지 전국 2,000가구를 대상으로 제12차 생명보험 성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민영 생명보험 가입률은 84.5%(1,690가구)로 2006년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민영 생보 가입률이 하락한 것은 1976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 민영 생보 가입률은 1차 조사에서 20.8%를 기록한 이래 1994년 50.9%, 2000년 81.9%까지 가파르게 상승했지만 이후에는 오름세가 다소 약화됐다. 우체국과 농·수협 공제 등을 포함한 전체 생명보험 가입률은 87.5%로 역시 3년 전 조사에 비해 1.7%포인트 하락했다. 생보협회는 "우리나라의 생명보험 가입률은 미국의 78.0%(2004년), 일본의 87.5%(2006년)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가구당 민영 생보 가입건수는 평균 4.4건으로 변화가 없지만 연간 내는 보험료는 평균 498만원(월 41만5,000원)으로 지난번 조사에 비해 57만원(12.9%) 늘었다. 가구 연 소득이 3,600만원 이상인 경우 민영 생보 가입률이 90%가 넘었고 가구주 학력이 고졸 이상인 경우 가입률이 80%대 후반으로 올라갔으며 연령별로는 40대가 90%, 30대가 87%로 높은 편이었다. 상품 종류별로는 질병보험(87.3%)이 가장 많았고 상해ㆍ재해보험(71.1%), 종신보험 등 사망보험(37.1%), 연금보험(26.5%), 저축성보험(16.7%), 변액보험(8.4%) 등의 순이었다. 소득에 따라 상품 선택이 달라지는 모습을 보여 연소득 2,400만원 미만 가구는 주로 질병과 상해ㆍ재해보험에 가입했으며 연소득 4,800만원 이상 가구에서는 변액보험이 많았다. 2007년 이후 중도해약이나 효력상실을 경험한 가구는 13.9%로 3년 전에 비해 4.5%포인트 감소했다. 생명보험에 추가 가입할 뜻이 있다는 답은 28.0%로 3년 전에 비해 2.6%포인트 하락했으며 사유로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가 72.4%에 달했다. 추가가입 의향이 높은 층은 20대와 전문 직종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