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모바일 D램 '3GB 시대' 열었다

세계 첫 양산 돌입… 영화 두 편 동시 감상 가능<br>갤럭시노트3 탑재 내년부터 모든 제품에 장착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용 3GB 모바일 D램을 양산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스마트폰에서도 영화 두 편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는 이 제품을 조만간 출시할 갤럭시노트3에 탑재한 뒤 내년부터는 모든 스마트폰에 장착해 반도체의 기술력을 스마트폰으로 이식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4일 차세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3GB 모바일 D램의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3GB 모바일 D램 제품을 양산하게 됨에 따라 현재 2GB 제품이 주종을 이루는 스마트폰용 모바일 D램 시장은 또 한 번의 세대교체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제품은 세계 최소 칩 사이즈인 20나노급 4Gb(기가비트) LPDDR3 칩 6개를 대칭으로 3단 적층한 제품으로 업계 최초 3GB의 고용량과 0.8㎜ 초박형 사이즈를 동시에 구현했다. 결국 이번 제품 양산으로 스마트폰의 슬림한 디자인과 더 큰 배터리 용량을 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해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특히 풀HD급 고화질 영화감상과 빠른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데다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해 차세대 통신 표준인 LTE-A 서비스를 더욱 확실하게 즐길 수 있게 한다. 스마트폰에서 동영상을 다운로드받으면서 재생할 때 화면 끊김 현상 없이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동영상 재생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아울러 이번 제품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내 2개의 데이터 채널을 1.5GB씩 대칭으로 연결해 특정 모드에서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시스템 성능을 최대로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향후 해당 제품을 채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경우 4GB 메모리를 채용한 PC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PC의 프로그램이 모바일의 애플리케이션과 비교할 때 다소 무거운 점을 감안할 때 모바일용 3GB 제품은 PC의 4GB 제품과 동등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이 평가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이번 제품은 올 하반기 최고사양 스마트폰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대부분의 고사양 스마트폰에 탑재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올해 말에는 6Gb LPDDR3 칩 4개를 2단 적층해 성능을 더욱 높인 3GB 제품을 개발해 빠르게 진화하는 모바일 시장을 지속적으로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3GB 모바일 D램 출시를 통해 유일하게 모바일 업체의 모든 차세대 라인업을 대응하는 최대 제품군(1GBㆍ2GBㆍ3GB)을 확보한 만큼 향후 프리미엄 모바일 D램 시장에서도 독보적인 경쟁력 우위를 유지해나갈 예정이다.

김상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