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치아상식] 흰 치아와 레이저미백술

조선시대 대표적인 화가 신윤복의 미인도 뿐만 아니라 생존하는 화가들의 미인도의 공통점은 단아한 미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림 속의 여인들은 절대 입을 벌려 치아를 노출하지 않는다. 이는 여성의 입을 성적인 상징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여성의 입술 속에 감춰진 하얀 이는 성적 매력의 포인트다. 특히 치약을 비롯한 구강제품과 치의학이 발달하지 못한 옛날에는 하얀 이를 가진 여성이 드물었기 때문에 하얀 이는 미인의 기본조건이며 순결의 상징으로 받아들였다. 반대로 남성들은 사랑하는 여인과 헤어질 때 사랑의 정표로 이를 뽑아주는 발치풍습이 있었다. 배비장전에 보면 애랑이 떠나가는 배비장에게 `분벽사창에 마주 앉아 서로 보고 당싯당싯 웃으시던 앞니 하나 빼어 주시오`라는 대목이 나온다. 과거 이름난 평양기생 치마 앞섶에는 남정네들이 떠나며 빼주고 간 이가 한줌씩 들어 있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옛날 여성들은 흰 치아를 갖기 위해 쑥을 삶은 물로 입안을 헹구거나 검지손가락으로 혹독한 양치질을 하기도 했다. 이가 누럴 경우 제대로 말을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웃지도 못해 자신의 재능이나 매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요즘도 누구나 백옥처럼 하얀 치아를 갖길 원한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지날수록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아무리 양치질을 해도 변색 자체는 막을 수 없다. 그러나 요즘은 의술이 발달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레이저 미백치료가 있기 때문이다. 알곤 레이저를 이용해 이에 달라 붙은 착색물을 녹여 내리는 치료는 40분~1시간 이내 끝난다. 증상에 따라 차이는 있다. 그러나 선천적인 증상이 아니라면 단 한번 시술만으로도 백옥 같은 모습을 유지할 수 있어 매력을 찾아주는 시술법으로 평가 받고 있다. <박재석 USC치대박사 청담동 미프로치과원장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