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美 대형 은행들 '볼커 룰' 무시?

"헤지펀드 소유 문제될것 없다" JP모건등 신흥국 투자 박차<br>"조항 불분명 해석차" 지적속 정치권·월가 마찰 불가피할듯


미국 의회가 자기자본 투자를 제한하는 이른바 '볼커 룰'(Volcker Rule)을 중심으로 금융개혁 입법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이 오히려 신흥국가들을 중심으로 사모펀드 및 헤지펀드 투자 확대에 나서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1일 JP모건이 브라질 헤지펀드인 가베아 인베스티멘토스의 인수를 추진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펀드는 자산규모가 총 53억달러로 아르미니오 프라가 전(前) 브라질 중앙은행 총재가 지난 2003년 설립했다. FT는 "인수협상이 아직 결론에 도달한 게 아니지만 JP모건의 이 같은 행보는 새로운 금융개혁조치(볼커 룰)가 도입되더라도 상업은행의 헤지펀드 소유를 금지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볼커 룰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분리'라는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상업은행의 자기자본투자(proprietary trading)를 금지하고 헤지펀드 투자 등도 제한하고 있다. 폴 볼커 현 백악관 경제회복자문위원회 의장이 법안 설립을 강력히 주도한 데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JP모건을 비롯한 월가 주요은행들은 자기자본을 직접 투자하지 않을 경우 헤지펀드 소유자체는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볼커 룰이 상업은행의 헤지펀드 인수까지 가로막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FT는 "볼커 룰은 조항이 구체적이지 않아 상당한 해석차이를 낳을 수 있다"며 "일부 정치인들은 법안이 상업은행의 헤지펀드와 사모펀드 소유 자체를 금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래서 볼커 룰의 실제 적용과정에서 미국 정치권과 월가 은행들이 상당한 마찰을 빚을 것으로 전망된다. JP모건 관계자들은 "JP모건이 미 의회가 최종 단일 개혁방안을 발표하기를 기다리고 있다"며 "계획대로 된다면 오는 7월 초에는 헤지펀드 인수를 공식 발표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씨티그룹도 볼커 룰 도입에 개의치 않고 헤지펀드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블름버그통신은 지난 주말 "씨티그룹이 이를 위해 2년간 총 32억달러 이상의 신규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50억달러 규모의 씨티그룹 투자펀드인 씨티캐피털어드바이저스(CCA)는 올해 사모펀드 및 사모펀드 투자자금으로 각각 15억달러와 7억5,000만달러를 조달할 계획이다. 씨티그룹은 내년에도 헤지펀드 투자 자금으로 10억달러를 추가로 조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CCA 관계자는 "금융개혁법안의 최종 내용과 상관없이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고객의 이익을 보호하고 건전성을 확실하게 다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씨티그룹은 특히 아시아 지역의 사모펀드 시장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 "씨티그룹이 사모펀드 분야의 베테랑(크리스 라스코우스키)을 아시아ㆍ태평양 사업부문의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임명했다"며 "이는 씨티그룹이 아시아의 인수합병(M&A) 시장이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라고 평가했다. 씨티그룹은 모건스탠리 아시아부문과 노무라 홀딩스 출신 인재들을 스카우트한 후 아태 사업부문의 선임고문 및 M&A 대표 등으로 속속 배치하고 있다. 실제로 아시아 M&A 시장은 다시 성장세에 접어들고 있다. 시장정보 제공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사모펀드들의 M&A 규모는 지난 2007년 3ㆍ4분기 100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이후 글로벌 경기침체의 여파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그러나 M&A 시장이 지난해 중순부터 빠르게 회복되면서 분기마다 평균 30억달러 이상의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라스코우스키 신임 COO는 성명에서 "예전에 아시아에서 근무할 때에는 사모펀드 분야가 아직 활성화하지 못해 투자자문 분야에 주로 집중했다"며 "이제는 더 많은 M&A 기회와 기업공개(IPO) 등을 노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