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이버 왕따, 학교 폭력보다 자살위험 높인다

온라인 메신저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이용한 ‘사이버 왕따’를 당하거나 학교 폭력의 피해를 본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자살 시도율이 2∼3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4일 미국 정신의학회(APA) 연례회의에서 크리스티 킨드릭 박사가 13세∼17세 의 청소년 1만5,545명을 조사해 발표한 결과를 보면, 사이버 왕따 피해 학생이 자살을 시도하는 비율은 14.7%로 아무런 피해 경험이 없는 학생이 자살을 시도하는 비율(4.6%)보다 세 배로 높았다.


학교 폭력을 당한 학생의 자살 시도율은 9.5%로 피해 경험이 없는 학생의 자살 시도율의 두 배를 웃돌았다.

사이버 왕따와 학교 폭력을 둘 다 경험한 학생의 자살 시도율은 21.1%에 달해 자살 위험이 가장 컸다.


자살 시도 중에서도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성격의 자살시도 비율은 사이버 왕따와 학교 폭력의 경우가 각각 5.4%와 2.3%로 일반 학생에게서 나타난 비율(1.5%)보다 최대 3배 정도 높았다.

관련기사



두 유형의 피해를 모두 겪은 학생의 자살시도율은 6.0%로 일반 학생보다 네 배 많았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미국 청소년 6명 중 1명은 사이버 왕따를, 5명 중 1명은 학교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이 된 청소년의 10%는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고, 6%는 신변 안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학교를 결석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폭력 피해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서 더 많았다.

남학생은 11%가 사이버 왕따를 당했다고 응답했는데, 여학생은 이보다 두 배 많은 22%가 사이버 왕따의 대상이 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남학생 중 학교 폭력을 당했다는 비율은 18%에, 여학생은 22%에 달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