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車처리 어떻게 되나

대우車처리 어떻게 되나GM "인수" 기정사실화·현대 추격양상 대우자동차 인수전의 열기가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인수후보로 유력한 GM·피아트와 현대자동차·다임러크라이슬러 컨소시엄은 공식발표를 자제하고 있지만 이미 물밑탐색전은 시작됐다. 매각방식에 있어서도 「선인수·후정산」 「현대차 단독응찰 허용」 등 새로운 카드들이 잇따라 제시되고 있어 어느 업체가 최종인수자가 될지는 쉽게 점치기 어렵다. 채권단은 높은 가격을 받고 신속하게 처리한다는 매각원칙을 천명했지만 정작 입찰 참가자들은 속내를 일체 드러내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陳 재경 "대우차 매각협상 내가 책임진다현대차, 다임러 공동참여 적극 설득대우車매각, 산업은행으로 일원화"속전속결·최대한 제값 받자" ◇GM 인수=현재로서는 가장 유력한 방안이다. 그러나 GM이 인수하더라도 어떠한 조건에 인수하느냐에 따라 상황이 180도 달라진다. 포드 입찰 포기선언이후 가장 적극적인 GM은 상황이 자신들에게 유리해졌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부와 채권단도 내심 GM의 인수를 가장 선호하고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GM의 전략은 「얼마나 적은 비용으로 사들이느냐」로 요약된다. 이미 GM의 대우차 인수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GM은 최근 포드 파문으로 궁지에 몰린 정부·채권단을 적당히 설득, 경우에 따라서는 단번에 수의계약으로 판을 끝낼 수도 있다는 계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 경우 인수가격이 당초의 4조5,000억원대보다 크게 낮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 인수=현대는 재입찰시 지난 1차 입찰에서 GM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했다는 점에 최종인수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 또 정부가 현대차의 발목을 잡고 있던 「독점」이라는 족쇄를 풀어줌으로써 현대차는 인수전에서 새로운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현대차의 최대고민은 파트너인 다임러크라이슬러를 어떻게 인수전에 끌어들이느냐 하는 문제다. 현대는 다임러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어 다른 업체와는 공동으로 대우차 입찰에 참여할 경우 제휴자체를 깨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 현대는 단독으로 대우차를 인수할 여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필요성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또 현대가 단독으로 대우차를 인수했을 경우 대우차 부실로 인해 현대차까지 경영위기를 맞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삼성 인수=삼성이 막판에 대우차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도 있다.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정부가 안고 있는 고민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악의 경우가 닥친다면 의외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우선 가격 협상 면에서 유리하다. 삼성은 현재 삼성ㆍ르노의 지분 19.9%를 보유하고 아직까지 자동차 사업에 발을 담그고 있다. 또 굳이 삼성에게 대우차를 안겨주지 않더라도 정부는 가격 협상력을 높이는 카드로서 삼성을 활용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와 함께 대우차 해외매각에 반대하는 일부 여론을 무마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분할 매각=한곳에 대우차를 넘겨주기 보다는 분할매각하는 경우다. GMㆍ피아트가 인수할 때의 헐값 매각 가능성과 해외매각 반대여론, 다임러ㆍ현대가 인수할 경우의 국내 자동차시장 독점 우려와 현대차 동반 부실 가능성 등 각각의 시나리오가 갖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분할매각 때는 각자의 희망대로 다임러·현대차에게 쌍용차와 폴란드 FSO공장, GMㆍ피아트에는 대우차와 대우차판매, 대우통신 보령공장, 대우캐피탈과 해외법인 등 일부 부실자산을 넘기는 방식을 선택하게 될 것으로 보이고 삼성ㆍ르노도 이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위탁경영=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시나리오다. 현대중공업이 지난해부터 삼호중공업을 맡아서 경영하는 것과 같다. 국내 기업이 일정기간 대우차를 맡아서 경영을 해서 정상화를 시킨 후 제3의 주인을 찾아주는 것이다. 이 경우 헐값 매각을 막을 수 있고 고용안정과 국내산업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대차가 위탁경영에 나설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공기업화=지난 1차 입찰당시 유력한 방안으로 검토됐으나 공기업 민영화라는 정부 정책에 정면 위배된다. 또 주인 없는 회사로 인해 경영난을 심화시켜 부실화가 가중될 우려가 높다. 또 자동차업종의 성격상 공기업으로 운영한다는 것이 무리라는 점에서 현실성이 떨어진다. 연성주기자SJYON@SED.CO.KR 입력시간 2000/09/20 18:31 ◀ 이전화면

관련기사



연성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