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시장 따로, 정책 따로

주변에선 부동산 투자의 ‘달인’으로 통하는 이모씨(37). 그는 최근 분당 서현동 효자촌 대창아파트 33평형을 5억5,000만원 주고 샀다. 모아 놓은 돈과 당시 갖고 있던 28평형을 담보로 은행대출을 받아서였다. 현재 시세가 6억원을 넘어서 불과 한달 사이 그는 5,000만원 이상의 시세차익을 거둔 셈이다. 그리고 갖고 있던 28평형은 33평형을 구입한 뒤에 시세를 봐오다 지난주 4억8,000만원을 받고 팔았다. 이를 통해 양도차익만 1억5,000만원 이상을 얻었다. 정부가 이른바 버블 세븐 지역의 아파트 가격 안정을 위해 강도 높은 대책을 쏟아내고 있는 와중에 그는 과감히 평수를 늘렸다. 더 큰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그는 이에 대해 “분당과 강남의 30평대는 정부 대책과 전혀 상관이 없다”며 코웃음을 쳤다. 그는 이어 “28평짜리는 4억5,000만원에 내놓았는데 중개인이 알아서 3,000만원을 더 받아줬다”며 “값을 올려 불러도 사려는 사람이 줄을 서있다”고 강조했다. 강남 양재동에 있는 회사에 다니는 그는 “강남 사는 동료들은 ‘분당도 곧 평당 3,000만원까지 갈 테니 평수를 더 늘려라’고 한다”며 더 큰 아파트로 옮기지 못한 것에 대해 아쉬워하기까지 했다. “아파트 값이 꼭짓점에 와있다”란 정부 관계자들의 말은 대다수 서민들의 ‘희망사항’을 대변한 것이다. 하지만 정작 버블세븐 지역 내 사람들에게 부동산은 여전히 유용한 재테크의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정부가 연이어 고강도 대책을 내놓아도 아랑곳하지 않는 게 현실이다. 분당에서 아파트 값이 제일 비싼 서현동 시범마을근처의 한 중개업자는 “재작년 10ㆍ29 대책 당시 2억8,000만원 하던 32평형 아파트가 현재 8억원”이라며 “정부가 대책을 내놓을 때마다 값이 더 오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지역의 아파트 값 폭등이 정부가 시장에 개입할 수 있는 명분이 됐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어설픈 개입은 오히려 다른 지역의 부동산 가격만 떨어뜨리는 등의 시장 왜곡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당국자들은 잊지 말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