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무인 경전철 개발 성공

현대重등 7년만에 세계4번째로 개가<br>향후 10년간 3兆규모 경제효과 기대<br>연말까지 시험운전…부산지하철 투입


한국이 세계에서 네 번째로 무인운전 경량전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건설교통부는 지난 99년부터 7년간 한국철도기술연구원ㆍ현대중공업ㆍ우신산전 등 산학연 30여개 기관이 참여, 150여명의 연구인력과 503억원(국고 370억원ㆍ민간 133억원)의 연구비를 투입한 끝에 무인운전 경량전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건교부에 따르면 한국형 경량전철의 최대 속력은 70㎞, 승차정원은 57명(최대 100명까지 가능), 차량 1량의 무게는 12톤이다. 운전자 없이 무인으로 운행돼 운영 및 유지보수비가 지하철보다 싸고 노선설계가 용이해 ㎞당 건설비가 300억~500억원으로 지하철(700억~1,000억원)의 40~50% 수준에 불과하다. 또 2량에서 6량까지 편성이 자유로워 계절별ㆍ요일별ㆍ시간대별 수송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선진국 신교통시스템의 장점과 국내 기후 및 지형적 특성을 고려, 환경친화적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도시미관을 고려해 전력공급선은 천장에서 바퀴 옆으로 돌리고 자동차와 유사한 고무바퀴를 사용, 소음과 진동을 줄인 점도 눈에 띈다. 정부는 이번 한국형 경량전철의 개발로 향후 10년간 6,263억원의 수입대체 효과, 2,340억원의 예산절감, 2조1,428억원의 제작 및 경제개발 등 모두 3조31억원의 경제효과와 3만3,00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전철은 경북 경산의 시험선에서 지난해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10개월간 1만㎞의 시험운행을 통해 해외 공인기관으로부터 안전 및 성능을 검증받았다. 정부는 하루 100㎞의 성능시험을 연말까지 수행하면서 차량 선정을 앞둔 부산지하철 3호선 미남~반송 구간에 이 전철이 투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각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경전철사업에도 이를 활용할 수 있게 독려할 방침이다. 채남희 철도기술연구원장은 “이번 경량전철은 차량ㆍ전력공급ㆍ신호제어ㆍ선로구축물 등 시스템 설계에서 제작, 핵심부품 개발까지 우리 기술로 만들어내 국산화율이 90%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