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이란 핵협상 타결 초읽기

개발 일정기간 중단 대신 서방 국외 자산동결 풀 듯

이란과 미국 등 서방국가들 간 핵협상 타결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이 일정 기간 핵개발 프로그램을 중단하는 대신 서방이 대이란 경제제재를 완화하는 안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8일(현지시간)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스위스 제네바로 급파되면서 잠정적 합의도출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모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교장관은 7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합의의 틀은 마련됐다"며 "8일 협상이 끝날 때까지 최종 합의에 도달해 공동성명을 작성할 수 있을 것"라고 말했다. 이란은 7~8일 이틀간의 일정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 및 독일 등 'P5+1' 국가들과 핵협상을 벌이고 있다.

관련기사



케리 장관이 11일간의 중동 순방일정을 마무리하자마자 8일 캐서린 애슈턴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의 초청으로 제네바 방문길에 오른 것도 막바지 담판을 통해 양측 이견을 최종 조율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합의안의 세부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외신들은 이란이 핵개발 프로그램을 일정기간 중단하는 조건으로 서방이 대이란 제재를 완화하는 내용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정부가 단계적 합의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첫 단계로는 이란이 6개월간 핵개발 프로그램을 중단하는 조건으로 서방이 이란의 국외자산 동결을 풀어주는 등 제한적인 제재 완화에 나설 수 있다고 보도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이날 NBC뉴스 인터뷰에서 이란과의 '1단계' 합의도출 가능성을 내비치며 "제재의 뼈대를 유지하는 가운데 매우 완만한 수준의 제재 완화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양측이 서로에 요구하는 양보 대상과 핵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둘러싼 시각차가 막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 제네바에서 1단계 합의가 성사돼도 사태를 낙관하기는 어렵다. 미국의 중동 우방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이 협상에 반대하며 미 의회에서도 반대 의견이 거세게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오바마 대통령은 NBC 인터뷰에서 "이란이 핵무기를 포기한다는 확신을 주지 못하면 완화했던 제재를 복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