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공기관 시·도별 1개씩 배치

국가균형발전위 "수도권·대전은 제외…2012년까지 이전 완료"

국가균형발전위(위원장 성경륭)는 24일 수도권 및 대전을 제외한 12개 광역시ㆍ도에 한국전력, 주택공사, 토지공사 등 지방 이전에 따른 파급효과가 큰 대규모 공공기관을 시ㆍ도별로 1개씩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균형발전위는 또 과천청사 활용방안에 대해 정보기술(IT)단지, 민간기업 등에 임대하는 연구개발센터, 이전행정부처 연락합동사무소 등 3가지 대안을 검토 중이다. 균형발전위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신행정수도특위 산하 균형발전대책소위에 이 같은 내용을 보고하고 “현재 기준으로 시ㆍ도별로 평균 10여개의 기관(2,000∼3,000명)의 배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균형발전위는 올해 안에 시ㆍ도별 배정을 마치고 2012년까지 이전을 완료시킬 계획이다. 이전 대상인 190여개 공공기관을 ▦대규모 기관 ▦산업특화기능군 ▦유관기능군 및 개별이전 기관으로 분류한 뒤 대규모 기관은 지역 연관성과 업무 효율성을 감안해 시ㆍ도별로 1개씩 배치할 방침이다. 균형발전위는 이어 수도권과 대전ㆍ충남을 제외한 광역시ㆍ도에 특성화된 지역거점도시인 ‘혁신도시’를 원칙적으로 1개씩 건설하고 혁신도시의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업도시와 연계하는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균형발전위는 다음달 중 이전대상 기관 및 시ㆍ도별 배치방안을 발표하고 오는 5월까지 관계부처와 시ㆍ도, 이전대상 기관끼리 이전시기 및 지원내용 등에 대한 협약 체결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내년 12월 말까지 혁신도시 지구지정 및 개발ㆍ실시계획을 수립하고 2012년까지 공공기관 이전을 완료해 혁신도시를 완공할 방침이다. 한편 균형발전위는 동북아 국제비지니스 및 금융산업 거점도시(서울), 동북아물류ㆍ비즈니스 중심도시(인천), 첨단ㆍ지식기반산업 메카(경기도) 육성 등 수도권 발전전략도 국회에 보고했다. 이에 따라 서울의 경우 5대 국제업무거점(도심ㆍ용산ㆍ강남ㆍ여의도ㆍ상암), 3대 금융거점(도심ㆍ강남ㆍ여의도), 4대 정보통신거점(도심ㆍ강남ㆍ구로ㆍ금천ㆍ상암ㆍ마곡), 4대 바이오기술 거점(홍릉ㆍ불광ㆍ신림ㆍ강북)으로 나눠 개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