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차-한중] 처리 '닮은꼴 논란'

국내 대기업들이 이들 업체를 해외에 넘기면 기간산업이 붕괴되거나 하청공장으로 전락하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이에 반해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라도 해외 유수업체가 이들 업체 매각이나 민영화에 참여해야만 한다는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해외매각 반대 이유=대우차를 GM에 팔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는 현대자동차나 한중 지분 매입 우선권을 GE나 ABB-CE에 줘서는 안된다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등 국내업체들의 논리는 비슷하다. 우선 국내 산업기반의 붕괴 우려다. 대우차가 해외에 팔리면 부품업체 붕괴는 물론고용 불안으로까지 이어지고 국내 유일의 자동차 메이커인 현대차의 입지마저 흔들린다는 것이다. 한중 역시 해외에 지분이 넘어가면 기술개발의 의존 심화로 사실상 하청기지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공정성과 형평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해외에 수의계약이나 지분 매입 우선권을 줄 경우 해외의 다른 업체들까지도 비난할 것이라고 국내 대기업들은 주장한다. 정부는 이같은 지적을 의식한 듯 대우차 매각 방식을 수의계약 대신 제한적 입찰을 택했다. 또 외환위기가 상당부분 극복된 상황에서 굳이 해외매각이나 외자유치에 목을 맬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 역시 일고 있다. 이와 함께 대우차와 한중 양사 모두 노조측이 해외매각을 반대하고 있다. ◇해외업체 참여 불가피론=GM이 대우차를 인수하는 것은 위기가 아니라 기회라는 주장도 적지 않다. 세계 자동차업계가 대형 인수·합병(M&A) 바람에 휩싸여 있고 초대형 생산규모를 갖추지 못하면 생존 자체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국내 자동차업체도언제까지 독자 생존만을 고집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해외업체 국내 상륙이 오히려자극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한중 역시 GE나 ABB-CE를 제외하곤 민영화를 제대로 추진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두 회사 모두 한중의 주요 협력선으로 수주산업인 중공업의 특성을 감안하면 이들이빠질 경우 향후 수주에도 커다란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수요만 가지고는 한중의 생존 자체가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이들을 민영화에 끌어들이는 게 당연한 수순이라고 보는 이들이 많다. 결국 대우차나 한중 모두 해외업체가 어떤 식으로든 참여하는 게 장기적인 생존과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데 찬성론의 공통점이 있다. 김기성기자BSTAR@SED.CO.KR

관련기사



김기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