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방감리 허위보고 심각하네

행정처분 131건으로 절반 넘겨

소방시설 공사가 안전기준에 맞게 이뤄졌는지 확인하는 소방감리업체들의 허위보고가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리 부실은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고 등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정청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22일 소방방재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올 7월까지 소방공사 감리업체에 내려진 행정처분은 259건이었다. 이 가운데 '허위 보고서 제출'에 따른 행정처분은 131건으로 절반을 넘겼다.


'감리원 미배치 및 배치기준 위반'과 '감리 소홀 및 부적합'이 각각 38건과 35건, '변경신고 태만'이 24건으로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소방공사 감리란 소방시설 공사가 설계도와 관련 법령에 맞게 이뤄졌는지 확인하고 품질이나 시공관리 기술지도를 하는 절차를 말한다. 현행 소방시설공사사업법 제20조에 따르면 소방공사 감리업자는 감리 후 결과보고서를 당국에 제출하게 돼 있다.

그러나 감리 결과 보고서를 허위로 제출한 업체가 받는 벌칙은 200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하는 데 그친다.

정 의원은 "소방공사 감리업무가 부실하면 부실한 소방시설 공사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해 대형화재 등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며 "허위보고서 제출 등에 따른 벌칙이 너무 경미한 만큼 소방공사 감리 부실과 관련한 벌칙을 강화하는 소방공사감리업법 개정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