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장마철 옷차림 밝고 화사하게

민소매 원피스 세련 쫄티·반바지 활동편해유달리 길고 심했던 봄 가뭄 걱정이 끝나자 마자 어느덧 지루한 장마철이 성큼 다가왔다. 간간히 비가 내리거나 잔뜩 찌푸린 날씨가 여러 날 이어지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기분이 우울해지고 분위기도 움츠러들기 쉽다. 밖으로 이리저리 다니다 보면 옷에도 물기가 배 눅눅하고 무거운 느낌이 여간 불쾌하지 않다. 외출에서 돌아와 비와 땀에 젖은 옷을 그대로 옷장에 넣었다가 며칠 뒤 꺼내보면 보기 싫게 쭈그러드는 등 관리에도 이만저만한 신경이 쓰이는 게 아니다. 우중충한 날씨일수록 남녀를 막론하고 옷은 산뜻하고 밝은 색상을 고르는 게 좋다. 내리는 비 사이를 어둡고 칙칙한 차림으로 지나는 이의 모습은 보는 사람들의 기분마저 가라앉게 만든다. 화사한 옷차림은 입은 사람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상쾌한 느낌을 줘 자칫 가라앉기 쉬운 분위기를 전환시키는데도 일조한다. 여성들은 비오는 날 밝은 색 민소매 원피스로 거리에 나서면 세련된 느낌을 줄 수 있다. 깜찍한 분위기를 원하면 원색의 짧은 반바지에 탱크톱을 입고 그 위에 가벼운 소재의 레인코트나 캐주얼 스타일 셔츠를 걸치는 게 요령. 몸에 꼭 달라붙는 쫄티, 니트바지, 짧은 반바지나 미니스커트 등이 장마철 활동하기 편안한 제품. 그러나 면이나 데님(진) 소재 옷은 한번 젖으면 무겁고 잘 마르지도 않으므로 웬만하면 피하는 게 좋다. 신발이나 가방 역시 물에 쉽게 손상되는 가죽제품을 피하고 비닐 소재를 선택하는 게 요령이다. 장마철에는 기온이 평상시 보다 내려가고 특히 아침 저녁으로는 쌀쌀하기까지 하므로 보온성이 좋은 카디건이나 점퍼를 여벌로 준비하는 것도 생활의 지혜. 습도가 높아 자칫 옷 입는 것만으로도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소재는 되도록 가볍고 몸에 달라붙지 않아 착용감이 좋은 폴레에스터나 린넨처럼 통기성이 뛰어난 제품이 좋다. 밝고 산뜻한 느낌이 중요한 것은 신사복도 마찬가지. 잿빛이나 회색, 감색 계통보다는 베이지나 벽돌색 등이 산뜻해 보인다. 정장 안에 받쳐 있는 셔츠나 남방 역시 하늘색, 흰색 등 밝은 색상으로 포인트를 주는 게 무난하다. 넥타이는 녹색, 청색 등의 사선이 들어가 있거나 산뜻한 느낌의 단색이 좋다. 남성복의 경우 가볍게 입으려면 특히 소재선택이 중요한데 까슬까슬하면서도 보송보송한 느낌을 동시에 주는 폴리에스터 제품이 좋다. 남성정장의 주요 소재인 마, 모, 실크 등은 젖으면 무겁고 뻣뻣해지거나 후줄근해지기 때문. 폴리에스터 제품은 물빨래가 가능, 세탁비 부담까지 덜 수 있어 경제적이기까지 하다. 캐주얼을 즐겨 입는다면 아크릴 혼방의 티셔츠에 면이나 폴리에스터 바지를 입어 보자. 무릎까지 드러나는 반바지에 흰색 라운드 셔츠와 체크 남방을 받쳐 입는 것도 센스 있어 보인다. 긴 소매 남방이나 점퍼 등을 미리 준비한다면 건강까지 챙길 수 있다. 비 오는 날 정장차림으로 외출했다면 집에 돌아오는 즉시 옷을 깨끗이 펴셔 말려야 늘어지는 주름을 예방할 수 있다. 여름 옷은 완전히 건조시켜야 오랫동안 입을 수 있으므로 한 벌을 며칠 씩 입는 것 보다는 2~3벌 정도를 번갈아 날마다 갈아 입는 게 옷의 수명도 늘리고 형태도 안정돼 보이게 한다. 김호정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