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미국 신용등급 하락으로 대미 수출 타격 우려

무역협회 “미국 경기회복 둔화로 소비수요 위축 시 대미 수출 악영향” 전망

한국무역협회는 7일 미국 신용등급 하락에 따라 경기회복 둔화 정도가 심해지면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증가세가 다소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이날 '미국 신용등급 하락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자료를 내고 "미국 신용등급 하락으로 앞으로 미국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이 상승하고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미국의 경기회복 둔화세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경기회복 둔화세가 커지면 소비수요 위축에 따라 우리의 미국 수출 증가세도 주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27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5% 증가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에 민감한 휴대전화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등의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원은 "현재 우리의 대미 수출 비중은 전세계 시장의 10% 가량이기 때문에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하려면 앞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반응과 실물경제로의 파급 여부를 더 살펴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올 상반기 미국의 경제성장이 애초 예상보다 부진하면서 미국 경기 회복세가 둔화하는 징조가 있었지만 최근 고용지표가 개선되는 등 더블딥으로의 확산을 언급하기엔 아직 이른 감이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국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파급효과는 앞으로 미국 정부의 대응에 달려있다"며 "미국 재정적자를 해결하기 위한 여야간 공조가 이뤄지면 오히려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