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김형철의 철학경영] 리더, 가장 마지막에 말하라

<1> 의사결정


소련이 달나라에 사람을 먼저 보내자 미국은 다급해졌다. 이념과 체제경쟁에서 뒤처졌다는 생각에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전 국민에게 비장한 각오를 밝힌다. "미국은 달에 사람을 반드시 보내겠다" "BACK TO BASIC"도 이때 나온 말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최초로 달에 로켓을 발사할 때, 어떤 궤도로 로켓을 발사해야 가장 좋을까. 국장은 최고의 과학자들로 구성된 3개팀에 그 계산을 의뢰한다. 연구결과가 발표됐고 3개팀의 계산은 서로 다 달랐다. 자, 여러분이 국장이라면 어떻게 최적의 궤도를 결정할까.

미리 하면 눈치봐 창의성 사라져


첫째, 가장 합리적인 프레젠테이션을 한 팀에게 기회를 줄 것인가. 그런데 누가 가장 합리적인지를 누가 결정할 것인가. 둘째, 랜덤한 방식으로 결정할 것인가. 마치 복권 당첨자를 결정하듯이. 셋째, 가장 경험 많고 권위 있는 시니어팀의 제안대로 할 것인가. 이 역시 과학적 근거가 없는 권위주의적 발상이다. 결국 NASA는 전체 조직원들의 인기투표에서 다수를 득표한 팀의 의견을 채택했다. 최고의 과학자들이 모인 집단에서 더 이상의 과학적 권위는 없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과학적 진실마저 정치적인 민주주의 투표에 따라서 결정할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우리는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자유민주주의의 핵심은 자유토론과 다수결이다. 모든 사람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이 마련돼야 한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도 충분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투표를 할 수밖에 없다. 99명이 찬성하고 1명이 반대하는 사안이 있다고 하자. 이때 1명의 반대 목소리는 반드시 들려줘야 한다. 들어본즉 그 의견이 옳은 의견으로 판명된다면 우리는 진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영원히 놓칠 뻔한 것이다. 들어본즉 만약 그 의견이 틀린 것이라면 99명의 의견이 역시 옳다는 것이 재확인되는 순간이다. 영국의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이 '자유론'에서 하는 말이다. 어떤 경우에도 다수결로 결정하기 전에는 충분한 자유토론이 전제돼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치열한 자유토론 후 결정 내려야

NASA의 의사결정은 우리에게 중요한 사실 하나를 시사한다. 모든 최종 결정은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동시에 그러한 정치적 결정을 내리기 전까지 우선적으로 사실 확인이 있어야 하고 전문가들의 자유로운 의견교환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현실은 어떤가. 여러분 조직에서는 어떻게 비즈니스 결정을 내리는가. 혹시 모두가 보스 한 사람의 의견만을 바라보고 있지는 않는가. 리더는 회의에서 발언을 가장 마지막에 해야 한다. 회의를 소집한 사람이 먼저 자신의 입장을 제시하면 그날 회의는 하나 마나한 것이다. 다들 의사결정권자의 입장을 따르기 때문이다. 이런 회의가 가장 재미없고 지루하고 창의성과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먼 회의다. 그래서 매일 회의만 하는 사람들을 보고 회의주의자(skeptic)라고 하는 거다.(너무 썰렁한가.) 오죽했으면 "부하에게 자신의 마음을 읽히지 말라"고 한비자가 이야기했을까.

조직 내에서 내리는 결정은 그룹지니어스의 원칙에 따라 치열한 자유토론이 선행적으로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존댓말이 존재하는 우리 사회에서 아랫사람이 자유롭게 의견개진을 하기가 어렵다. 어떤 최고경영자(CEO)는 나한테 이렇게 말한다. "요즘 젊은 애들 참 버릇이 없어요! 윗사람에 대한 기본예의도 안 지킵니다." 이런 말을 하기 전에 혹시 나는 내 부하직원들에게 너무 발언의 기회를 주지 않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봐야 한다. 예의와 자유는 같이 가야 할 가치다. 리더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조직 내의 분위기를 자유롭게 만드는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