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전세가 비율 60% 넘는 가구 1년새 3배로

수도권 51만가구… 집값 상승 압박 가능성


매매가격에서 차지하는 전세가격 비중을 나타내는 전세가 비율 60% 이상인 주택가구 수가 최근 1년 새 수도권에서 세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매가격이 0.87% 하락한 반면 전세가격은 10.5%나 증가한 데 따른 현상이다. 이에 따라 이런 현상이 가속화할 경우 수도권 집값 상승을 압박할 가능성도 있다. 전세가비율이 높으면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돌아설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는 7월 현재 수도권의 전세가 비율 60% 이상 가구 수가 총 51만4,593가구로 지난해 같은 시기 16만3,413가구보다 무려 314.9%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전세가 비율이 60% 이상인 가구 수는 지난 2008년 13만2,000가구에서 2009년 10만1,125가구로 23.4% 감소했지만 지난해부터 전세가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고 올 들어 가구 수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1만9,636가구에서 올해 9만7,007가구로 7만7,371가구(394.0%) 증가했다. 이어 신도시에서는 22만7가구에서 69만370가구로 4만7,363가구(215.2%) 늘었으며 경기도 역시 10만8,635가구에서 32만1,223가구로 21만2,588가구(195.7%), 인천은 1만3,135가구에서 2만6,993가구로 1만3,858가구(105.5%)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수도권 모든 지역이 매매가격은 떨어진 반면 전세가는 크게 올랐다. 지역별 매매가격(전세가격) 변동률은 ▦서울 -0.93%(10.5%) ▦경기 -0.82%(13.18%) ▦신도시 -0.27%(12.18%) ▦인천 -1.58%(2.91%) 등으로 나타나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변동이 차이를 보였다. 이영진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장은 "하반기에도 전세가격은 상승하고 매매가격은 하락하는 현상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전환되면서 서울 외곽지역부터 거래가 살아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