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정부, ‘독도’ 표기한 구글맵 디자인상 수상 저지

산케이 “다케시마로 표기 안한 것이 이유인 듯” <br>영유권 주장 동영상 유포, 쿠릴 4개섬은 보류키로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식 명칭인 ‘다케시마(竹島)’로 표기하지 않고 독도로 표기한 구글맵의 디자인상 수상을 저지했다고 산케이 신문이 8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매년 뛰어난 디자인을 표창하는 ‘굿 디자인 대상(총리상)’ 올해 후보(단수)로 검색 사이트 구글의 지도 서비스인 구글맵이 올라갔지만 이 상의 소관부서인 경제산업성이 동의하지 않았다.


경제산업성은 차점자와 득표수에 큰 차이가 없고, ‘매우 현저한 공적’이라는 대상의 수상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수상에 반대한 이유를 설명했다. 구글맵은 심사위원 및 일반인 투표에서 2,752표를 획득, 차점자인 일본의 신형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2,232표)’에 520표 앞섰다.

그러나 산케이는 구글맵이 ‘다케시마’라는 표기를 쓰지 않고 독도로 표기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구글맵이 독도에 대해 ‘다케시마’라는 표기를 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지자체와 국립대 등을 상대로 홈페이지에 구글맵을 링크하지 말라고 통보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1980년 ‘굿 디자인 대상’이라는 이름으로 시상이 시작된 이후 올해 처음 ‘해당작 없음’으로 처리됐다. ‘굿 디자인 상품 선정 제도’가 도입된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1957년 이후 처음이다.

결국 상을 주관하는 공익 재단법인 일본디자인진흥회는 구글맵에 특별상을 주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한편 최근 독도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홍보하는 동영상을 인터넷에 유포한 일본 정부가 러시아와의 영유권 갈등지역인 쿠릴 4개섬(일본명 북방영토)에 대한 동영상 제작은 당분간 보류하기로 했다고 산케이가 전했다.

이는 현재 양국 정부 차원에서 쿠릴 4개섬 반환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산케이는 소개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