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태평양 희토류 매장량 육지의 1000배"

日 도쿄대 연구팀 하와이ㆍ타이티 부근에 880억톤 발견


전기자동차 등 첨단제품의 필수 소재인 희토류가 태평양 바다 밑에서 1,000억톤 가량 발견됐다고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들이 전했다. 이는 육지 매장량의 800~1,000배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로, 개발에 성공할 경우 전세계 희토류 시장을 쥐락펴락하는 중국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공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들은 4일 도쿄대학 가토 야스히로(加藤泰浩) 준교수가 이끄는연구팀이 하와이와 프랑스령 타이티 부근의 해저에 엄청난 양의 희토류가 매장돼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하와이와 타이티 인근의 수심 3,500~6,000m 해저에 퇴적된 진흙층에 400ppm에서 최고 2,230ppm에 달하는 고농도 희토류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총 1,100만㎢에 달하는 두 광상에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희토류 매장량은 약 880억~1,000억톤으로, 1억1,000만톤에 달하는 육지 매장량의 800배를 훌쩍 넘어선다. 희토류는 현재 중국이 전세계 생산량의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지만, 중국 광상에서 생산되는 희토류의 농도는 이번에 발견된 태평양 광상의 절반에 그치는 수준이다. 가토 준교수는 “중국 희토류 광상의 농도가 500~1,000ppm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태평양 해저의 진흙은 고농도로 질이 좋다”며 “태평양 전역의 희토류 매장량은 육지의 수천 배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매장된 희토류의 종류는 TV와 광학디스크에 사용되는 테르븀,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디스프로슘, 발광다이오드에 사용하는 유로퓸 등이다. 이번에 발견된 광상은 대부분 공해상에 위치해 있어 희토류를 채굴하기 위해서는 국제 해양법조약에 근거해 개발 희망국가들이 광구를 배정받아 개발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과거 공해에서 자원을 채굴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국제적 합의를 거쳐 실제 희토류 채굴이 이뤄지기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라고 일본 언론들은 전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