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계 고졸 채용 열풍을 일으킨 국책은행들이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 채용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뒤늦게 고졸 채용에 동참했던 시중은행들이 장애인에게도 채용의 문을 활짝 열어줄지 관심이 모아진다. 그러나 국민ㆍ하나ㆍ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은 관련 자료조차 공개하지 않을 정도로 소극적인 모습이다.
18일 금융계에 따르면 기업은행과 산업은행은 지난해부터 장애인 채용을 적극 늘리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두 은행의 장애인 고용비율은 각각 2.14%, 2.1%. 기업은행은 지난해 1년간 102명의 장애인을 선발했고 산업은행은 58명을 신규 채용했다.
이에 따라 두 은행은 올해 안에 장애인 의무고용비율을 충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장애인 의무고용비율은 올해부터 2.5%(종전 2.3%)로 상향 조정됐다.
기업은행 고위관계자는 "장애인 채용은 고졸 채용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약자 배려의 성격도 있지만 장애인 행원들의 업무성과가 매우 좋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오는 4월 중순이면 의무채용비율을 채우게 된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관계자도 "7월께 의무채용비율에 도달할 예정인데 비율에 억매이지 않고 계속해서 장애인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반해 국민ㆍ하나ㆍ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은 관련 자료조차 제공할 수 없다며 버티고 있다. "지금까지 자료를 공개한 전례가 없다"는 변명뿐이다. 하지만 이들 은행의 장애인 채용비율이 의무비율에 턱없이 못 미친다는 것은 업계 상식으로 통한다. 실제로 4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고용 현황을 밝힌 우리은행의 장애인고용비율은 2010년 말 기준으로 0.68%에 그쳤다.
시중은행들은 장애인을 채용할 바에야 차라리 고용부담금을 내고 말겠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고시한 의무채용비율을 채우지 못할 경우 해당 기관은 고용부담금을 장애인지원공단에 내야 한다. 하지만 문제는 금액부담이 적다는 점이다. 장애인 1인당 부담금액은 672만원으로 월 기준으로는 53만원에 그친다. 매년 1조원 이상 순익을 내는 은행 입장에서는 '껌값'에 불과해 차라리 돈으로 때우겠다는 인식이 강하다.
게다가 시중은행 내부에 깊이 박힌 편견은 더욱 큰 벽이다. 서비스업종인 은행은 대면업무가 많아 장애인에게 관련 업무를 맡길 수 없다는 것이다. 심지어 일부 시중은행에서는 "고객들이 장애인을 불편해 한다"며 드러내놓고 말한다.
금융계 관계자는 "시중은행의 고졸 채용도 따지고 보면 국책은행이 댕긴 불씨에 마지못해 동참하는 모습이 강했다"며 "이들이 장애인 채용에 나설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