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캠코, 농어촌공사도 이전 공공기관 부지 매입

10개 혁신도시에서 올해 아파트 1만3,000여 가구 공급 정부는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종전 부동산 매각을 활성화하기 위해 종전 부동산 매입 기관을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한국농어촌공사 등 기타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의 거주여건 개선 등을 위해 올해 혁신도시에서 총 1만3,000가구의 아파트를 분양한다. 국토해양부는 13일 전국 10개 혁신도시 부단체장 및 추진단장 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공공기관 청사이전의 재원인 종전 부동산(현재 사용중인 공공기관 청사 등) 매각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존에 LH로 한정해 놓은 종전 부동산 매입 기관을 캠코와 농어촌공사 등으로 다변화된다. 현재 국회에는 종전부동산 매입 기관을 정부투자기관에서 공공기관ㆍ지방공기업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공공기관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개정안이 계류 중이다. 국토부는 국회에서 법 개정이 마무리되면 시행령에서 캠코와 농어촌공사를 비롯해 SH공사, 경기지방공사 등 지자체 산하 지방공사 등 재정여건이 되는 기관을 선별해 매입 기관으로 명시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공공기관 종사자를 위한 아파트 분양도 본격화된다. 올해 부산, 대구, 강원, 울산, 경남 등 10개 시ㆍ도의 혁신도시에서 총 1만3,528가구의 아파트가 분양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LH는 충북, 강원, 전북, 광주전남 지역 등 8개 혁신도시에 5,648가구를 공급한다. 민간 건설사 중에서는 대우건설이 울산 혁신도시(2,061가구), 부영이 경남(1,986가구)ㆍ강원(930가구) 등지에서 총 4,977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부산지방공사는 부산혁신도시에 2,304가구를 내놓는다. 혁신도시에 건설되는 아파트는 일부가 공공기관 종사자에게 우선 분양되고, 나머지는 일반에 공급된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