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주택대출금리가 '예금'의 3.5배

작년 시중은행 금리 인상폭 비교해보니…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큰 폭으로 뛰는 데 비해 정기예금 금리는 조금밖에 오르지 않고 있어 서민들의 부담만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21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폭이 정기예금 금리 인상폭의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말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평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4.43%로 6월 말에 비해 0.06%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그러나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5.69%로 0.21%포인트 상승했다. 은행들이 정기예금 금리를 유지한 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어 예금과 대출 금리간 인상폭 차이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은 이번주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지난주보다 0.06%포인트 올려 연 6.05~7.05%로 적용한다. 대출 최저금리가 지난해 6월 말에 비해 0.69%포인트 급등했으나 1년제 정기예금의 최고 금리는 22일 현재 4.65%로 0.10%포인트 높아지는 데 그쳤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도 22일 주택대출 금리를 5.84~7.14%와 5.94~7.04%로 각 0.5%포인트씩 올리기로 했고 하나은행도 6.14~6.84%로 0.02%포인트 높이기로 했다. 그러나 정기예금의 경우 우리은행이 4.6%,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4.8%로 지난해 6월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주택대출 금리 인상률이 정기예금 금리 인상률의 1.8~2.9배에 달하고 있다. 외환은행은 정기예금 금리를 4.45%로 지난해 6월 말에 비해 0.5%포인트 낮췄으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5.78~6.78%로 같은 기간 0.08%포인트 높였다. 은행권에서는 한국은행의 지급준비율 인상 등 긴축조치로 비용이 증가해 예금 금리를 올리기 어렵고 시중 금리 상승세로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에 연동된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