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미분양 리츠' 세제혜택 무색

기존 리츠들 수익률 줄줄이 마이너스<br>'수도권으로 대상 확대'도 효과 없을듯


정부가 '5ㆍ1대책'을 통해 미분양주택에 투자하는 리츠(REITs)의 세제혜택 범위를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확대했지만 그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인 리츠에 세제혜택을 줌으로써 미분양 해소와 리츠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겠다는 복안이지만 기존에 설립된 리츠의 수익률이 줄줄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는 등 세제혜택 효과가 무색하기 때문이다. 10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현재 운용 중인 미분양 리츠는 '우투하우징 1호' 등 9개로 3,789가구, 총 1조6,011억원의 규모의 지방 미분양 주택에 투자돼 있다. 미분양 리츠는 정부가 지난 2009년 지방 미분양주택을 60% 이상 편입했을 때 종합부동산세 비과세, 법인세 추가과세(30%) 비과세 혜택을 준 이후 활기를 띠었다. 2009년 한 해에만 8개의 리츠가 설립됐다. 하지만 지방 미분양주택 편입비율을 50%로 완화한 지난해 1개가 설립되는 데 그쳤고 올해는 전무한 상태다. 미분양 리츠 설립이 지지부진한 가장 큰 이유는 수익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경제신문이 미분양 리츠 9개의 지난해 결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13.48~-28.04%대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9개 리츠가 설정된 뒤 한번도 수익을 낸 적이 없다. 부동산 경기침체의 여파로 미분양 주택의 처분이 쉽지 않아 이익을 남기지 못하고 매입가격 이하로 팔고 있다. 여기에다 운용수수료ㆍ인건비 등을 지출하면서 9개 리츠가 평균 20.89%의 손실을 기록했다. 아직 만기청산 전이어서 운용기간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한 수익률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5ㆍ1대책'을 통해 미분양주택의 범위를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기간은 올 4월 말에서 내년 말까지 연장했지만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은 지방보다 상황이 더 좋지 않기 때문이다. 수도권 미분양주택은 3월 말 현재 2만7,089가구로 역대 최고 수준이며 전용면적 85㎡ 이상 중대형이 대부분이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이후 미분양은 9,305가구로 수도권 전체 미분양의 3분의1에 달한다. 자산운용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분양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적기 때문에 매각 이익을 내기 어려운데다 펀드 운용비, 인건비 등 관리비용도 만만찮다"며 "주택경기가 회복되기 전까지는 신규설립이 지지부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