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함수ㆍ함미 절단면 비슷…버블제트 침몰 가능성↑

합동조사단은 직접타격 가능성도 함께 조사

24일 인양된 천안함 함수(艦首)의 절단면도 함미(艦尾)와 마찬가지로 C자 형태를 보이고 갈기갈기 찢어진채 뾰족하게 솟아오른 모습이어서 어뢰 등에 의한 버블제트나 직접 타격으로 침몰했다는 정황이 더욱 굳어지고 있다. 함수 절단면을 육안으로 감식하고 촬영한 민ㆍ군 합동조사단 과학수사팀도 버블제트와 직접 타격에 의한 침몰 가능성을 모두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상당수 전문가들은 함수ㆍ함미 내부의 전선피복 상태가 양호하고 함체에 외부 직접 타격으로 구멍이 뚫린 흔적도 없어 천안함 중앙 아래쪽에서 강력한 폭발→버블제트가 발생해 침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은 연돌(연통) 부근 갑판 10여m, 함수ㆍ함미 연결통로 부근의 해치 커버(철문ㆍ150~200㎏)의 상단 고리가 떨어져 나간 것도 버블제트로 선체가 솟구쳤다가 떨어지면서 반대로 꺾인 때문으로 보고 있다. 좌ㆍ우현 절단면 모두 울퉁불퉁하게 파이고 중간부분 철판이 위로 치솟아 있으며 외부 직접 타격으로 함체에 구멍이 뚫린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도 이같은 분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군 관계자는 "3D(3차원 입체) 영상으로 촬영한 함미ㆍ함수의 절단면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맞춰보면 폭발 형태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 합동조사단 과학수사팀이 절단면 부근에서 수거한 파편 조각의 재질도 감식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