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올 상장사 횡령 피해액 작년 4배

15개사서 22건 발생

상장회사의 횡령사고가 크게 늘고 규모도 대형화됐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8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사 가운데 횡령이나 배임 혐의가 발생했다고 공시한 곳은 모두 15곳, 건수는 22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한해 발생한 21건을 이미 넘어섰다. 횡령금액도 커졌다. 올해 들어 발생한 횡령사고 피해액은 총 1,66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97억원에 비해 4배를 훌쩍 넘었다. 또 건당 횡령액도 75억원으로 지난해 37억원의 두 배나 됐다. 이 같은 횡령액 대형화 등으로 상장사는 자기자본에 큰 손실을 입고 있다. 코스닥시장의 나온은 3월 전ㆍ현직 대표이사와 전 임직원이 55억6,000만원의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가 드러나 이들을 검찰에 고발했다고 공시했다. 이 횡령금액은 회사의 자기자본(50억4,000만원)보다도 많다. 유가증권시장의 세안도 1월 전직 대표이사를 포함한 경영진이 자기자본의 75.04%에 달하는 270억원을 횡령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공시했다. 또 벨코정보통신(자기자본 대비 횡령액 69.28%), 현원(54.78%), 예일바이오텍(52.32%), 에프와이디(51.59%) 등도 횡령사고 발생 금액이 자기자본의 절반을 넘었다. 횡령사고 발생으로 해당 기업들은 증시에서 퇴출 또는 관리종목 지정 등의 피해를 보고 있다. 올해 대규모 횡령 사고가 발생한 엠텍반도체와 예일바이오텍은 자본 전액 잠식으로 증시에서 퇴출됐고 나온ㆍ디지웨이브텍ㆍ에프와이디ㆍ청람디지탈ㆍ벨코정보통신 등은 관리종목 신세가 됐다. 한편 올 들어 횡령사고가 발생한 15개사 중 2개사를 제외한 13개사가 모두 코스닥에 집중돼 있었다. 또 22건 중 21건에 전ㆍ현직 대표이사가 연루돼 상장사 대표이사의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