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채소·과일값 급등…생산자물가 8개월째 올라

생산자 물가 8개월째 오름세

채소ㆍ과일 가격이 급등하며 생산자 물가를 8개월 연속 상승세로 이끌었다. 또 항공화물운임이 30% 이상 뛰었다.

한국은행은 7월 생산자물가 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6월과 비교하면 0.1% 올랐다.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 5~6월 4.6%보다는 낮아졌지만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째 오름세다. 특히 채소 가격이 작년 동월 대비 33.8% 뛰었고 한 달 전과 비교해도 14.7% 올랐다. 이중 무(175.6%), 마늘(151.6%), 배추(94.6%) 가격이 치솟았고 양파(49.4%), 시금치(41.1%), 토마토(38.8%), 피망(34.0%) 등도 많이 올랐다.


과일가격도 급등했다. 참외(31.8%)와 수박(15.8%)이 오르면서 과실류는 10.2% 상승했다.

관련기사



곡물 중에서 쌀(-15.4%)과 보리(-4.4%)는 내렸지만 콩(33.7%)이 많이 올랐다. 축산물 중에서는 계란(-17.3%)과 돼지고기(-3.8%)가 하락했지만 오리고기(14.4%)와 닭고기(3.1%)는 상승했다.

수산식품의 경우 물오징어(-43.1%), 가자미(-41.7%), 넙치(-38.7%)가 내렸지만 고등어(33.5%), 조개(27.2%), 조기(22.0%)는 올랐다.

공산품 중에서는 프로판가스(53.7%), 부탄가스(36.0%), 경유(7.9%), 휘발유(5.0%) 등 석유제품이 일제히 올랐다. 화학제품(4.9%)과 1차 금속제품(17.4%)도 오름세였다.

서비스 요금 중에서는 항공화물운임이 31.5%나 올랐다. 또 여행특수로 국제항공여객료도4.3% 상승했다. 이외에 펀드수수료(5.9%), 호텔숙박료(7.0%), 여관숙박료(4.8%) 등이 오르며 서비스 요금이 전반적으로 1.4% 상승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