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내경제] 금통위 기준금리 또 동결 가능성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정위기로 국제금융시장이 안갯속을 헤매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11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현 3.25%)를 결정한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금통위가 유럽사태 등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을 이유로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동결시킬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앞서 재정위기 진앙지인 그리스는 유로존 탈퇴의사를 묻는 국민투표를 철회했으며 선진 주요20개국(G20) 정상들은 지난 주 국제통화기금(IMF) 재원보충 방안마련에 합의했다. G20이 절반의 성공을 거두었다는 것이 정부의 평가지만 시장반응은 냉담하다.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대다수의 금융 전문가들이 기준금리 동결을 점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김중수 한은 총재도 '연내 금리인상은 어렵다'는 신호를 여러 차례 시장에 보낸 바 있다. 따라서 이번 금통위는 금리인상 여부보다는 G20의 성과와 전망에 대해 김 총재가 어떠한 해석을 내놓느냐에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금통위 회의와 관련해 주목해야 할 지표로는 10월 생산자물가지수와 금융시장 동향이 있다. 생산자물가는 1~2개월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물가 선행지표다. 생산자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6~7%대의 고공비행을 지속하다 지난 9월 올해 처음으로 5%대로 떨어졌다. 금융시장 동향에서는 시중은행 가계대출 추이를 주시해야 한다. 정부는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가 감소하고 있고 대출의 상당부분이 고소득층에 몰려 있다"며 의미를 애써 축소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전ㆍ월세가 상승 등 물가불안으로 저소득층의 대출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은 입장에서 가계부채 증가는 양날의 칼이다.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서는 기준금리 를 인상해야 하지만 이는 거꾸로 저소득층의 이자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정치권에서는 한미 FTA 비준을 둘러싸고 여야간 치열한 힘겨루기가 벌어질 전망이다. 국회 본회의가 열리는 10일이 D데이다. 일단 야당과의 합의를 통해 처리하겠다는 게 여당의 공식 입장이다. 하지만 소관 상임위인 외통위를 거치지 않고 본회의에 직권상정해 강행 처리하는 초강수도 배제할 수 없다. 10일 비준안 처리가 무산되면 24일 본회의로 넘어간다. 이와 함께 7일부터 국회 예산결산특위 종합질의가 예정돼 있지만 FTA라는 암초로 인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