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렌지 파동' 조짐…수입량 작년 5배

'오렌지 파동' 조짐…수입량 작년 5배올들어 오렌지 수입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바람에 국내 과일값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등 지난 80년대말 자몽 파동과 90년대초 바나나 파동에 이어 `오렌지 파동'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8일 농림부에 따르면 올들어 수입된 오렌지는 24일 현재 모두 7만13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만3천T에 비해 5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이는 지난 한해 동안의수입량 3만853T을 이미 배 이상 초과한 것이다. 특히 1월에는 2천389T에 불과했던 오렌지 수입량이 2월 1만3천41T, 3월 1만733T으로 늘어난데 이어 4월에는 무려 2만6천127T이 쏟아져 들어왔다. 이달 들어서도 24일까지 1만7천840T이 추가로 수입됐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수입량이 10만T을 넘어설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오렌지값도 18㎏ 상품 한상자에 2만4천743원으로 지난해 이맘때 7만7천500원의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막대한 양의 오렌지가 국내시장에 풀리자 오렌지는 불과 3∼4개월만에국내 과일시장에서 전통적인 강세를 보여온 사과, 배, 감귤을 밀어내면서 과일값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수입 오렌지가 가장 많이 풀린 4월 서울 가락시장에서 거래된 사과값은 15㎏ 상품 한상자에 평균 2만4천36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4만5천520원에 비해 86%나떨어졌다. 배도 지난해에 비해 90% 정도 낮은 값을 형성하고 있고 특히 감귤은 2월부터 15㎏ 한상자가 지난해의 절반 수준에도 못미치는 1만∼1만1천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서울시내 대부분의 과일가게와 백화점 식품매장은 가장 눈에 잘 띄는 코너에 사과, 배 대신 오렌지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매장 진열을 변경하고 있다. 오렌지 수입이 크게 늘어난 것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오렌지 풍작으로 수입가격이 지난해 18㎏ 한상자에 23.2달러에서 9.4달러로 크게 하락한데다 백화점과 대형유통업체가 세일기간에 미끼상품용으로 오렌지 구매를 늘렸기 때문이다. 청과업계 관계자는 "대기업인 LG상사와 해태상사가 각각 5천842T, 2천905T의 수입량을 기록해 오렌지 수입을 주도하고 있다"며 "싼값과 높은 당도 등 품질을 무기로 한 수입 오렌지의 영향은 자몽, 바나나 등과는 달리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주호기자 JOOHO@YONHAPNEWS.CO.KR입력시간 2000/05/28 09:42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정주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