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설을 즐겁게] "老테크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30대부터 준비 50대엔 목표자금 90% 모아야<br>은행·보험들 투자목적 맞게 연금상품등 선봬


초 저금리 기조에 고령화 사회를 맞아 ‘노(老)테크’가 주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자산의 90% 이상을 투자하는 선진국처럼 노후 자금 마련을 위해 자산을 본격적으로 굴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때다. 노후를 대비한 자금 마련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며 절세 상품가입은 기본이다. 이번 설 연휴에는 가족 친지가 모여 앉아 노후를 대비한 효율적인 자금 마련 계획을 대화의 주제로 삼아보자.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서는=은퇴 후에도 일정한 수준의 생활을 유지하려면 자산 형성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미리 구성해야 한다. 또 노후대비는 빠를수록 좋지만, 연령에 맞는 투자전략을 선택해야 한다. 30대는 노후대비와 주택마련을 함께 하고, 40대부터는 본격적인 노후자금 마련을 시작해야 한다. 한국투자증권이 최근 내놓은 ‘노후설계 프로그램’에 따르면 30대는 자산 축적단계로 노후에 필요한 자금의 20% 가량을 종자돈으로 마련하는 시기다. 40대는 자산증식단계로 필요한 자금의 60%를 모아야 하며 50대에는 목표자금의 90%를 만들어야 한다. ◇노후대비 유망상품=노후를 위한 상품은 투자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원리금을 매월 받을 수 있는 연금형 상품이 늘어나는 추세다. 하나은행은 고객이 최저생계비를 정하는 등 스스로 노후설계를 할 수 있는 ‘디자인 예금’을 팔고 있다. 이 상품은 매달 이자만 지급하는 정기예금과 달리 일정 기간 원리금을 받는 연금식 예금 상품이다. 한국씨티은행도 거치식과 연금식을 결합한 ‘웰빙예금’을 판매하고 있다. 조흥은행은 예금 가입자가 사망할 경우 상속인에게 자산을 상속하는 것은 물론 유언서를 작성해주는 유언신탁 상품을 팔고 있다. 보험사들이 판매중인 각종 연금보험은 노후대비를 위해 들어둘 만한 대표적인 상품이다. 연금보험은 ▦납입 보험료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는 제도성 개인연금보험 ▦소득공제는 받지 못하지만 10년 후 비과세 혜택을 받는 일반연금보험 ▦일시에 보험료를 납입하고 다음달부터 연금을 받는 즉시연금보험 ▦보험사가 고객이 낸 보험료를 투자해 운용실적에 따라 보험금을 더 얹어주는 변액연금보험 등이 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