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역경제단신] 대구·경북 섬유 소량체제로 전환중

14일 한국섬유개발연구원에 따르면 99년말 현재 지역 직기 대수는 6만8,796대로 97년말 대비 23.5%포인트 줄면서 사상 처음으로 7만대 이하로 떨어졌다. 직기시설은 91년 9만5,307대, 93년 8만9,918대, 95년 8만7,799대 등으로 꾸준히 감소했다.이중 워터제트룸은 3만3,072대로 전체의 48.1%를 차지했고 에어제트룸이 5,125대로 7.4%, 래피어직기가 1만2,75대로 17.6%를 차지했다. 제직업체 수도 2,208개로 2년전보다 18.4% 감소했다. 연구원은 외환위기에 따른 휴·폐업, 타지역 이전 등으로 업체 수가 크게 줄었다고 분석했다. 지역 주력기종인 워터제트룸의 국산비중은 97년말 15.4%에서 99년말 11.4%로 낮아진 반면 일본산에 대한 의존도는 86.4%에서 88.6%로 높아졌다. 직기전체로는 국산이 42.4%인데 반해 외산은 57.6%로 높았다. 특히 방적기의 경우 99.8%가 외산이었다. 폴리에스터 직물 생산업체가 69.1%, 임직업체가 74.4%로 대다수를 차지해 특정품목 편중 및 기업규모 영세성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에어제트룸과 래피어직기 구성비가 2년전 5.6%, 11.5%에서 7.4%, 17.6%로 각각 높아져 다품종체제를 위해 업계가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김태일기자TIKIM@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