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자체들 유치전 불붙을듯

경기·경북 등 적극 유치 나서<br>충청권 "공약 지켜라" 반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사업을 유치하기 위한 지자체간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사업은 중이온 가속기 설치 및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을 통해 세계적인 기초과학 연구 허브를 조성하는 것으로 3조5,000억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라는 점에서 상당수 지자체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국회가 지난 8일 입지를 지정하지 않은 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통과시킨 이후 각 지자체들이 유치 경쟁에 뛰어들 태세다. 경북은 포항에 3세대 방사성광가속기가 가동되고 있는데 이어 내년부터 4세대 방사성광가속기건설사업까지 추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했다고 보고 유치전에 적극 나설 태세다. 또 경기도와 과천이 지역구인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는 과천정부청사의 세종시 이전에 따라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를 적극 고려중으로 빠른 시일내에 유치신청서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앞서 경기도는 이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 계획을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충청권은 특별법에 입지가 지정되지 않은 데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충청권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조성사업의 경우 이명박 대통령이 대선 공약사업으로 이미 충청권에 조성하겠다고 약속한 사항임을 강조하며 더 이상 정치적 힘에 의해 좌지우지 돼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이곳이 지역구인 이상민 자유선진당 의원은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사업으로 과학벨트의 핵으로 충청권에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사업에 대해 정부가 명확한 입장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충청권은 과학벨트 입지선정이 총선이나 대선 등과 맞물리게 될 경우 정략적으로 악용될 소지가 높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미 대덕특구와 오송생명과학단지, 세종시를 포함하는 충청지역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최적지로 지목돼 왔다"며 "이번 국책사업까지 정치권의 영향을 받게 될 경우 국가과학기술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