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에디터즈 레터] 투자와 투기의 차이

[에디터즈 레터] 투자와 투기의 차이 박민수 minsoo@sed.co.kr 관련기사 >> 다트머니 기사 더 보기 • 부동산 時테크가 곧 財테크 • 어학연수…보유 아파트 처리는 어떻게 • [에디터즈 레터] 투자와 투기의 차이 • [이상품 어때요] '다이렉트 저축예금' • 자동차보험 아는 만큼 아낀다 • 어! 車보험이 多되네 • "가치주·중소형주 펀드 돋보이네" • "중소형주에 관심 커질것" • [숨은 진주 찾기-IPO 유망기업] 텔레필드 • [윤혜경의 파생상품 대해부] • [머니조크] 젊은 사업가 • 부동산투자 호재 중첩지역 노려라 • 호재 중첩지역 연내 분양물량 • [전국 아파트 주간 시세 동향] • [부동산써브 추천 알짜물건] 1월21일 • [서경 펀드 닥터] 주식형 수익률 -6.93% • 남자도 꾸며야 산다 • 대학생 학년별 취업준비 투자와 투기의 차이를 아십니까 우스개 소리로 ‘하라는 대로 하면 투자고 하지 말라는 것을 굳이 하면 투기’라고 합니다. 컬럼비아 대학 교수로 워렌 버핏의 스승이기도 한 벤자민 그레이엄은 ‘투자와 투기의 차이는 원금을 보존할 수 있는가 없는가가 기준’이라고 말했습니다. 투자는 수비적이어서 안정적이지만 투자는 공격적이어서 위험할 수 밖에 없습니다. 투자는 수익성이 그리 높지 않으나 잃어버릴 확률이 적고 투기는 수익성이 높은 반면 손실을 볼 확률이 높습니다. 투자는 안전을 사고 투기는 위험을 사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공통점이 있다면 둘 다 모두 돈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버핏에게 ‘가치 투자’의 진수를 전수한 그레이엄은 잠재적 가치에 비해 저평가돼 있는 기업을 찾아 투자한 뒤 시장이 그 가치를 깨달을 때 까지 기다리는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말은 쉽지만 잠재적 가치에 비해 저평가돼 있는 숨은 진주를 찾아낸다는 것은 엄청난 인내력과 산술적인 능력, 혹은 돈 냄새를 맡는 동물적 감각을 필요로 합니다. 부동산 시장에 있어서도 투자와 투기는 분명 존재합니다. 멀리 내다보고 지금은 비록 저평가돼 있지만 5년 뒤 10년 목돈으로 보답할 만한 부동산에 돈을 묻어둔다면 바로 그것이 가치 투자일 것입니다. ‘노벨 환경상’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태안반도 기름 유출 사고 현장의 자원봉사자들 발길에 이어 돈 가진 사람들의 행렬 또한 잇따르고 있다고 합니다. 사고 지역 주변의 모텔이나 팬션 등이 장사가 안되면서 현 시세보다 훨씬 싼 가격에 나온 매물들을 잡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남의 불행을 나의 행복으로 삼는 약삭빠른 사람들의 모습에서 세상의 야박함을 엿보게 돼 씁쓸합니다. 독자여러분은 올해 투자를 하시렵니까 아니면 투기를 하시렵니까. 자신의 기질과 성향이 투자와 투기 어느 쪽과 더 가까운지 잘 파악해 현명한 결정을 내리길 바랍니다. 입력시간 : 2008/01/20 14:5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