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 동사무소 100곳 폐지

내년말까지…잉여인력 구청등에 재배치<br>청사는 문화·복지시설로 활용키로


내년 말까지 100개 동사무소가 단계적으로 폐지, 현재 518개 동에서 418개 동으로 줄어들게 된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와 협의를 거쳐 이같이 결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 말이면 동별 평균 인구 수가 1만9,655명에서 2만4,358명으로 23.9%늘어나게 된다. 자치구별로는 서초ㆍ성북구가 가장 많은 10곳씩을 없애기로 했다. 특히 서초구는 18개 동을 8개로 통ㆍ폐합, 동별로 5만∼6만명의 인구를 관할하는 ‘대동(大洞)제’를 추진하기로 하고 용역을 실시 중이다. 서대문구와 관악구는 6개씩, 노원ㆍ동작구가 5개씩, 종로구 등 12개 구는 각 4곳을 폐지하기로 했다. 시는 이번 통ㆍ폐합으로 생기는 잉여인력 1,308명 중 통합 동사무소 인력 보강에 642명, 인근 동사무소 부족 인력 충원에 79명 등 721명을 동사무소에 재배치하고 587명은 구청에 재배치해 도시디자인부서 등 변화된 환경에 맞는 행정 서비스 분야를 담당하게 할 계획이다. 또 동사무소 청사 100곳 중 39곳은 공공보육시설(12곳)ㆍ공공도서관(5곳)ㆍ주민자치센터(19곳)로 활용하거나 매각, 또는 임대해지(3곳)된다. 나머지 61곳은 7∼8월 중 열릴 ‘시ㆍ구 시설활용협의회’와 주민의견 수렴 결과를 반영해 부족한 보육시설과 도서관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통ㆍ폐합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통폐합 동사무소 1곳당 리모델링비로 10억원, 시설보수비로 2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폐지되는 청사를 문화ㆍ복지시설로 활용하고 새로운 행정 수요에 인력을 재배치하는 한편 시설 건립비와 운영비 등 6,000억원을 절감하는 1석3조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단순히 동사무소 수가 줄어드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새로운 행정 서비스 수요에 맞는 체계로 개편되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