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韓·日 'DJ 납치사건' 정치적 타협

김종필-다나카 회동후 日특수부 해체<br>한국 정보기관 개입여부 수사 길 막혀

6일 일반에게 공개된 30년 경과 비공개 외교문서 1만7,000여쪽 가운데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부분은 ‘김대중(DJ) 납치사건’관련 문서다. 1973년 8월8일 일본 도쿄 한가운데서 발생한 DJ납치사건은 당시 한일 외교관계에 엄청난 파문을 일으켰으나 양국은 이 사건을 정치적으로 매듭지으려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건의 핵심인 한국 정보기관의 개입여부를 완전히 규명하지 못하고 김종필(JP) 당시 국무총리와 다나카 가쿠에이 당시 일본 수상과의 회담(1973년 11월2일)에서 사태가 일단락된 것이다. 이 회담의 결과 일본내 특별수사본부가 해체됨으로써 국내 정보기관의 개입 여부를 가릴 수 있는 유일한 단서인 주일 대사관에서 근무하던 중앙정보부 소속의 김동운 1등서기관에 대한 수사는 중단됐다. 외교문서에 따르면 다나카 수상은 “김동운의 행위에 공권력이 개재된 것이 판명되면 새로이 문제 제기를 할 수 밖에 없다”고 하자 JP는 “꼭 그렇게 하겠다는 것인가, 다테마에(겉치레)로 얘기해 두려는 것인가”라며 진의를 물었다. 이에 다나카 총리는 “다테마에”라고 대답, 일본 정부 또한 진상규명 보다는 적당히 한국과 타협하는 식의 해결 방안을 원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나카 총리는 이어 “김총리의 방일로 이 문제 해결에 있어서 명분이 좋아졌다. 이것을 계기로 끝을 맺기로 하자”면서 “수사본부는 서서히 눌러가면서 없애겠다”고 말해 사건을 더 이상 문제를 삼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DJ 납치에 한국의 중앙정보부가 개입한 듯한 흔적은 곳곳에 남아있다. 외교문서에 따르면 일본 경찰은 공권력의 개입 여부를 밝히기 위해 주일 한국대사관의 김동운 서기관이 납치사건 발생 한달 전인 7월 중순 흥신소에 김대중씨의 소재에 대한 조사를 의뢰한 점과 김대중씨 납치 도중 그가 엘리베이터에서 목격된 점, 그리고 사건 장소인 도쿄 그랜드 팔레스 호텔 2210호에서 그의 지문이 발견된 점을 들어 용의자로 지목하고 그에 대한 출두 조사를 요청했다. 그러나 김 서기관은 사건 직후 임의로 귀국해 국내에 체류중이었으며, 정부는 김 서기관에 대한 조사요청에 끝내 응하지 않았다. 이날 공개된 문서 중에는 ‘DJ 납치사건’ 외에도 ▦1974년 천주교 지학순 원주교구장 구속사건과 관련된 박정희 정권과 교황청 간의 타협 시도 정황 ▦박정희 정권의 재일 한인 북송 저지노력 ▦베트남에 한국 보유 전투기를 이양하는 문제를 둘러싼 한미간 공방 ▦1970년 미국으로부터 특별 군사원조 5,000만달러를 배정받기 위한 한국정부의 노력 등과 관련한 정부의 외교문서도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