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개매수 소수주주보호 ‘공염불’

◎청약 50%이상 대주주 우호세력·기관 물량/일반 매각기회 상실… 주가하락 손실 떠안아소수주주들의 이익을 보장해주기 위한 주식공개매수 제도가 제구실을 못하고 있어 보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2일 증권감독원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19일 끝난 한미은행의 한미리스공개매수에 응한 청약자들 가운데 50%이상이 미리 주식을 매집했던 기관이나 대주주 우호세력 주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소수주주들의 주식을 매입하기 위한 주식공개 매수제도가 대주주와 기관투자가들의 담합매매로 변질된 것이다. 청약내역을 보면 이번 공개매수에는 예정물량인 2백17만6천주의 2.78배인 6백6만3천44주가 청약됐으며 이 가운데 종전의 2대주주였던 조선무역이 1백38만주를 청약해 가장 규모가 컸다. 이외에 단일청약규모로 57만주, 56만주, 38만주, 32만주, 23만주, 18만주 등 10만주를 넘는 거액 청약자들이 총3백64만주로 전체의 5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소액투자자들은 공개매수약정분의 일부만을 매각할 수 있으며 공개매수이후 주가하락으로 오히려 투자손실이 확대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대주주인 한미은행이 기관들과 물밑거래를 통해 미리 매집했던 한미리스의 주식을 사들이기위해 공개매수라는 제도를 악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번 공개매수를 통해 한미은행은 지분율을 20.98%에서 40%로 높여 경영권을 대폭 강화했다. 한편 한미리스의 주가는 공개매수 종료일인 19일까지 8천원대에서 횡보했으나 21∼22일 연이틀 떨어져 7천4백원대로 추락했다. 이에앞서 지난 14일끝난 율촌화학 공개매수의 경우에도 청약된 40만2천주 가운데 청약단위는 11만주, 8만주(2건), 5만주(2건), 2만주, 1만주 등으로 일반보다는 미리 주식을 매입했던 기관들의 물량이 주류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김희석>

관련기사



김희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