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학점은행제 10년간 학사배출 7만명 넘어

사회지도층의 가짜 학위 문제가 연일 도마에 오르고 있는 가운데 지난 10년간 정규대학에 다니지 않고도 학점은행제를 통해 주경야독(晝耕夜讀)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이 7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에 따르면 학점은행제를 시행한 지난 10년간 등록 학습자는 22만여명에 이르렀고 학사 학위자가 7만여명 배출됐으며 현재 학점이 인정되는 교육훈련기관은 439곳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점은행제란 교육인적자원부의 지정을 받은 교육훈련기관에서 학점을 얻거나 자격증, 무형문화재 이수경력 등 사회경력을 학점으로 인정받으면 학사 또는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로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목표로 지난 1998년 처음 도입됐다. 고졸 직장인이나 대학 중퇴자, 대학 졸업장은 없지만 전문 실력을 갖춘 직장인, 새 전공으로 대학에 편입학하려는 사람 등이 대상이며 등록 학습자는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1999년 34명이 첫 학위를 취득했고 2000년 1,020명, 2001년 2,510명, 2002년 4,601명, 2003년 8,249명 등 매년 그 수가 늘어나면서 학위 수여자는 총 7만6,833명에 이르렀다. 학점은행제는 그러나 급속한 팽창 속에 속성 학위취득 수단, 졸업생에 대한 관리 부족, 제도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돼온 것이 사실이다. KEDI는 이와 관련, 학점은행제 시행 10년을 맞아 28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김신일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각계인사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행사와 문제점 보완을 위한 학술회의를 연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