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리비아, 한국 외교관 추방… 드러나는 새 사실

보안당국, 현지진출 한국 기업도 조사<br>권부핵심 뒷조사·美에 정보전달 여부 2대 쟁점<br>외교부 "세차례 협의 통해 오해 푸는 중" 결과 주목

우리 정부가 국정원 직원의 스파이 혐의를 둘러싸고 리비아 정부와 절충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외교통상부 고위당국자는 “한국과 리비아 정보당국이 모두 세 차례에 걸쳐 협의를 가졌다”며 “이를 통해 추방된 대사관 직원(국정원 직원)의 정보 활동에 대한 이견을 많이 좁힐 수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 20일 리비아를 찾은 우리 정보당국 대표단은 리비아 보안당국과 현재까지 협의를 진행중이다. 이 과정에서 이 사건을 둘러싼 새로운 사실과 정황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추방된 우리측 국정원 직원의 정보 활동과 관련돼 체포됐던 주리비아 한국대사관의 현지인 직원은 최근 풀려났으나 리비아 보안당국은 현재 불법 선교 혐의로 체포된 한국인 선교사 구모씨에 대해서도 간첩 혐의를 추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현대건설, 대우건설, 대한통운 등 현지 진출 한국 기업들도 지난달부터 간첩 활동 의혹과 관련해 리비아 보안당국으로부터 조사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 당국자는 “현지 진출 기업들이 조사를 받았으나 별 문제 없이 끝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추방된 국정원 직원이 누구를 대상으로 정보활동을 했는지, 어떤 정보를 수집했는지 그리고 정보활동에 미국이 개입됐는지 등이 이번 사건의 쟁점으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현지 언론에서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에 대한 스파이 활동 혐의로 양국 관계에 균열이 생겼다’고 보도하고 있는 점으로 미뤄 이를 놓고 양국간 이견이 가장 큰 것으로 관측된다. 리비아측은 추방된 국정원 직원이 수집한 정보를 미국과 이스라엘 등 제3국에 넘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한국과 리비아는 미국의 제재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협조했던 관계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며 “리비아 측에서도 납득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은 이날 “작년 9월 리비아를 방문했을 때 인민의회의장이 15분 가량 카다피 일가에 대한 한국 교과서와 언론의 부정적 평가를 문제 삼았다”며 “이번 사건이 이런 분위기와 관련이 있어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