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차세대 나노소재 공정 세계최초 개발

KAIST 홍순형 교수 연구팀탄소나노튜브의 `응집성 난제' 해결 쾌거

나노 기술을 이용해 고강도, 고탄성의 차세대내마모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신기술이 세계 최초로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26일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홍순형 교수 연구팀은 과기부의 `21세기 프런티어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단' 사업 지원으로 탄소나노튜브를 통한나노 소재 생산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내놨다. 탄소나노튜브는 철강의 수배에 달하는 강도와 탄성을 지닌 물질로 이를 금속이나 세라믹 등 기존 소재에 고루 분산시키면 고강도의 나노 신소재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는 반면 서로 뭉치는 응집성이 강해 기존 소재에 골고루 분산시키기가 어려워 큰 기술적 난제가 됐다. 홍교수팀의 신공정은 이 탄소나노튜브를 화학적으로 처리해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세계 최초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소재 분야의 최고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6월호 본지에 게재됐다. 홍교수는 "이 공정을 이용 구리 나노 복합소재를 만들어보니 기존 구리에 비해강도와 내마모 성능이 각각 2배, 3배로 증가됐다"며 "`꿈의 소재'로 불리는 나노 소재를 상용화하는 주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홍교수팀은 이 기술을 국내를 비롯해 미국, 일본 등 해외 주요 국가에 특허 출원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