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IT 이노베이션] 인터넷TV는?

정통부-방송위 관할권놓고 대립<BR>서비스 언제 시작될지 오리무중


통신과 방송의 만남은 필연적이다. 통신기술의 발전은 방송의 한정된 채널을 크게 확장해 주고 시청환경도 한층 편리하게 만든다. 반대로 방송은 통신기술이 필요로 하는 강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풍부하게 제공해 준다. 이런 통신과 방송이 융합해 만들어내는 환상적인 교집합이 바로 ‘인터넷TV(IP-TV)’다. 대역폭이 크게 늘어난 초고속인터넷 선을 타고 제공되는 인터넷TV는 이론상 999개의 채널이 가능하고, 진정한 의미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는 혁명적 미디어다. 이 같은 이유로 전세계는 지금 인터넷TV에 대한 기대감에 잔뜩 들떠 있는 모습이다. 일본ㆍ프랑스ㆍ스페인ㆍ이탈리아ㆍ미국ㆍ홍콩 등 여러 선진국가에서 이미 상용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IT강국’을 자처하는 한국에서는 정작 인터넷TV 서비스가 언제쯤 개시될 지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가 인터넷TV의 관할을 놓고 오랫동안 의견대립을 벌여왔기 때문이다. 정통부와 방송위는 최근 인터넷TV 시범사업 공동추진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바 있어 향후 인터넷TV 도입에 얼마나 속도가 붙을 지가 관건이다. KT의 경우 ‘IT 839’ 정책의 핵심 축인 광대역통합망(BcN)과 홈네트워크 서비스의 ‘킬러 콘텐츠’로 인터넷TV를 꼽고 준비를 진행해 왔다. KT는 올 연말께 인터넷TV 방송센터를 구축 완료하고 시범방송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하나로텔레콤은 최근 디지털TV 업체 이레전자와 제휴해 오는 10월부터 ‘TV포털’ 서비스를 시작하기로 했다. 인터넷TV 도입의 전단계로 평가되는 TV포털은 디지털TV로 주문형비디오(VOD)ㆍ게임 등 인터넷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서비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