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서울이나 부산은 학교 3곳당 1곳꼴로 교실배식이 이뤄지는 가운데 학교 식당이 없는 지역에서 식중독 환자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급식 위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안민석(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2013년 시·도 교육청 및 학교급별 배식장소 현황’을 7일 분석한 결과 지난달 기준 급식을 하는 전국 초·중·고교 1만873개 중 교실배식이 이뤄지는 곳은 14.3%인 1,554개로 집계됐다.
525개(4.8%)는 식당공간이 부족해 식당과 교실배식이 함께 이뤄졌고, 식당배식만 하는 학교는 8만7,944개(80.9%)였다.
교육부에 따르면 식당이 전교생의 3분의 1 이상을 수용할 수 있으면 식당배식이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소도시보다는 대도시, 고등학교보다는 초등학교에서 교실에서 급식하는 일이 많았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33.4%), 인천(21.5%), 부산(41.8%), 대구(16.1%), 경기(28.9%) 등의 교실 배식 비율이 평균보다 높았다.
또 고등학교는 2,194개 중 교실배식을 하는 곳이 79개(3.6%)에 불과했지만, 중학교는 2,981개 중 422개(14.2%), 초등학교는 5,547개 중 1,046개(18.9%)에 달했다.
교실은 학생들이 생활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식당에 비해 위생상태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교실 배식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식중독 환자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2011년간 전국 초·중·고교에서 발생한 학교급식 식중독 환자 수는 경기 2,860명, 서울 1,202명, 부산 1,197명, 대구 560명 순으로 많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위생을 고려해 일선 학교에 식당을 만들도록 권장하고 있지만, 학교 여건이 받쳐주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강제하지는 못하는 상황”이라며 “다만, 복도배식은 못하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