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계 때이른 `주주총회 비상`

재계에 때이른 `주주총회 비상`이 걸렸다. 비자금 및 대선자금 불법제공, 카드사 등 부실계열사 지원, 경영권 다툼 등 그 어느 해보다 현안이 많은 데다 시민단체ㆍ소액주주들의 강도 높은 추궁은 물론 기관 투자자들까지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에 나설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본격적인 주총 시즌을 한달 반 정도나 남겨두고 있는데도 벌써부터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기업들이 가장 신경 쓰는 사안은 대선 비자금 문제에 대한 시민단체들의 집중공격이 다. 참여연대는 이미 4대그룹 총수와 핵심경영인들을 정치자금법 위반 및 배임ㆍ횡령등의 혐의로 고발, 공격의 신호탄을 올린 데 이어 20일 SK그룹 지배구조개선 행동대책을 발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이런 흐름을 볼 때 재계는 올해 주총에서도 비자금 문제가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소액 주주들의 움직임도 예년과 사뭇 다르다. 비자금 연루 기업의 소액주주들은 시민단체와 연계해 대주주와 경영진들의 책임과 분식회계 여부 등을 적극적으로 따질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삼성ㆍLGㆍ현대차 그룹의 소액주주들은 이 문제 외에도 부실 카드사에 대한 증자ㆍ유동성 지원에 따른 기업가치 하락 문제를 따지고 더 나아가 손해배상 청구소송까지 불사한다는 입장이어서 주총에서 격론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연금과 한국투신ㆍ미래에셋ㆍ동원투신 등 기관투자가들도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예년과 달리 의결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기로 해 기업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이들은 ▲주주만족도 ▲경영투명성 ▲부실계열사 지원에 따른 펀더멘털 훼손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경영 잘못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개선을 요구하고 이것이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소액주주들과 연대해 경영진의 책임을 묻는 방안까지 검토중이다. 또 지난 한해 동안 외국인 지분율이 10%포인트 이상 늘어난 상장사가 총64개사나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의결권 행사에 따른 외국인의 입김 강화도 예상되고 있다. 삼성ㆍLGㆍSKㆍ현대 등 관련 대기업들은 이에 따라 ▲소액주주 전담창구 운영 ▲기관 및 외국인 주주 사전접촉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중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이번 주총에는 주주들의 반발이 예상되는 사안이 너무 많아 일일이 대응책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며 “주총 이슈가 오는 4월 총선에 묻혀 무난히 지나가기만 바랄 뿐”이라고 곤혹스러워 했다. <한기석기자 hanks@sed.co.kr>

관련기사



한기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