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백상논단] 웨어러블 헬스케어 주목해야 하는 이유

의료시스템 예방·맞춤형 전환… 의료비 지출 감소에도 효과적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급부상

원천기술 확보 위한 R&D 투자… 개인정보 유출 막을 제도 정비

빅데이터 연계 방안 서둘러야


고령화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노인 인구와 만성질환자가 늘면 의료비 지출부담 역시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이런 상황에서 노년기 삶의 질은 높여주고 의료비 부담은 줄여주는 해결사로 헬스케어 분야가 주목을 받는다. 의료서비스는 질병 치료에서 질병예방과 건강관리 쪽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고 정보통신기술(ICT)과 접목한 다양한 의료기기가 등장해 편리한 서비스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차세대 이동통신기술과 센서 네트워크기술의 발전, 그리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춘 모바일 기기의 등장으로 웨어러블 헬스케어가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급부상했다.


웨어러블 헬스케어는 건강정보를 옷이나 입을 수 있는 기기를 이용해 생체신호를 측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질병예방과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의료기관이라는 특정 장소와 시간의 장벽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서나 기기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심전도·뇌파·혈압·체온·호흡 등 필수 정보들을 측정함으로써 24시간 건강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웨어러블 헬스케어는 의료시스템을 예방·맞춤형으로 바꿔주고 증가하는 의료비 지출도 줄여주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BC 리서치도 웨어러블 기기 시장이 2013년 50억달러에서 2018년 303억달러 규모로 연평균 43%가량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유럽연합(EU)·일본 등 선진국들은 이미 ICT와 헬스케어 융합을 차세대 핵심 성장 분야로 선정하고 원천기술과 상용화 기술개발에 역량을 집중한다. 한국도 산학연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을 추진 중이지만 다른 나라에 비하면 여전히 미흡하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2012년 과학기술예측조사를 통해 한국이 세계 최고 기술 국가에 비해 2~5년 뒤져 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그렇다면 웨어러블 헬스케어의 글로벌 선도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이 필요할까.

첫째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체계적 R&D 투자다.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확대에 따라 다양한 센싱 기술과 관련 부품의 폭넓은 활용이 예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센서, 고주파 무선전력전송 등 핵심기술의 경쟁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센서 네트워크 기술, 융합 바이오 기술 등 원천핵심기술에 대한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 선정과 단계적인 R&D 자원과 역량의 집중투자가 요구된다.

둘째 웨어러블 헬스케어와 관련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의 정비다. 건강관리·질병예방 등 일상생활에서 활용성이 높아진 동시에 의료정보의 저장과 전달과정에서 보안상 취약점과 해킹에 따른 정보유출이 우려된다. 정부는 개인정보의 활용과 보호가 균형을 잡을 수 있는 합리적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빅데이터와의 연계 및 활용 방안 수립 문제다. 웨어러블 헬스케어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활용을 위해 공통으로 필요한 기능을 통합한 플랫폼 구축, 데이터 통합과 연계를 위한 표준화 추진이 필요하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라는 표현이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오래 사는 만큼 질병예방과 건강관리는 세계인의 화두다. 우리나라는 ICT가 강점이다. 웨어러블 헬스케어는 한국이 글로벌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은 분야다. 웨어러블 헬스케어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하고 발전시켜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ICT 강국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김흥남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