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전기·도로·통신시설 초토화… 경제 손실 15조 달해

■ 슈퍼 태풍 필리핀 강타… 1만명 이상 사망<br>순간 풍속 시속 379㎞ 태풍 경로 건물 80% 파괴… 2004년 쓰나미 재연<br>한국인 8명도 연락두절… 대사관 "영사 급파 생사확인"<br>11일 베트남 상륙 피해 불가피


주말 사이 필리핀을 강타한 ‘슈퍼 태풍’ 하이옌의 영향으로 사망자가 최대 1만2,000여명에 달하고 약 15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되는 등 사상 최악의 태풍 피해가 예상된다. 필리핀을 초토화시킨 하이옌은 11일 베트남 북부 지역에 상륙할 것으로 보여 추가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10일 외신들에 따르면 최대 순간풍속이 시속 379㎞에 달해 관측 사상 가장 강력한 태풍으로 기록된 하이옌은 지난 8~9일 필리핀 중부지방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정통으로 관통했다. 현지 경찰에 따르면 태풍 이동경로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건물의 70~80%가 파괴됐다.


필리핀 현지 언론 인콰이어러는 이날 “태풍이 덮치고 간 타클로반시 거리에는 시체가 수도 없이 나뒹굴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부 레이테주의 도미닉 페틸라 주지사는 9일 밤 열린 긴급 대책회의에서 하이옌으로 1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인근의 사마르섬에서도 10일 현재 300명의 사망자가 확인됐고 2,000명이 실종된 상태다.

전날 피해현장을 둘러본 세바스천 로즈 스탐파 유엔 재해조사단장은 약 22만명의 인명을 앗아간 2004년 인도양 쓰나미 직후와 비슷한 규모의 피해가 났다고 말해 향후 인명피해가 늘어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 전기ㆍ통신ㆍ수도ㆍ공항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이 파괴되면서 현지 주민들의 불편도 극에 달하고 있다. 타클로반의 피해 현장을 둘러본 마르 록사스 내무부 장관은 “모든 시스템이 붕괴됐다. 물도, 전원도, 통신수단도 없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이번 태풍으로 알바이 등 36개 주에서 약 428만명이 피해를 입었으며 34만2,000명이 공공대피소 신세를 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특히 도로ㆍ교통 등 인프라 시설 파괴로 현장 접근이 어려워지면서 생존자 구조 및 구호물자 전달도 늦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갈증과 허기에 시달린 주민들이 상점을 약탈하는 등 치안불안도 고조되고 있다.

이번 태풍은 필리핀 경제에도 충격파를 던질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는 이날 “총 140억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특히 강풍과 침수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우려된다. 이번 태풍으로 사탕수수 재배지역의 절반과 쌀 경작지의 3분의1가량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추후 농작물 가격 필리핀 정부는 이날 언론에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경제적 충격완화를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태풍에도 불구하고 6~7%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피해규모가 충격적으로 불어난 것은 강한 돌풍으로 폭풍 해일이 일면서 침수피해가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사마르섬 관리에 따르면 8일 태풍이 섬을 강타했을 당시 해변 인근 지역의 수위가 6m 이상 높아졌다. 특히 인구가 밀집한 저지대 해안도시인 타클로반의 인명피해가 컸다. 타클로반 공항의 한 관계자는 “마치 쓰나미와 같았다”며 “물이 4m까지 차올라 유리창문을 통해 겨우 탈출하고 한 시간 동안 건물 기둥에 매달려 구조를 기다렸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필리핀을 초토화시킨 하이옌은 10일 남중국해를 통과해 북서진하고 있어 베트남과 중국에 초비상이 걸렸다. 하이옌은 필리핀 열도를 지나며 다소 세력이 꺾였지만 11일 오전10시께 베트남 북부 지역에 상륙해 강풍과 함께 하노이 등 북부 지역에 최고 300㎜에 달하는 폭우를 뿌릴 것으로 전망된다. 또 베트남과 중국의 접경 인근인 광둥성과 하이난성도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 해안을 중심으로 주민들에게 대피령이 내려진 상태다.

한편 필리핀의 참혹한 현장 모습이 전해지면서 국제사회는 필리핀 구호를 위해 두 팔을 걷어붙였다. 미 국방부는 해·공군의 헬리콥터, 항공기 등 인양·수송장비와 해양 수색·구조장비를 현지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구호자금 49만달러를 즉시 전달하고 추가적인 지원 의사를 나타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