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매각 가능한 친일 귀속재산 처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

보훈처 업무보고…서해교전 추모식 정부행사로

매각 가능한 친일 귀속재산 처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 보훈처 업무보고…서해교전 추모식 정부행사로 온종훈 기자 jhohn@sed.co.kr 정부는 친일반민족 행위자의 후손에게서 환수한 토지 가운데 매각이 가능한 땅을 연내 처분해 독립유공자 후손들의 정착지원에 사용하기로 했다. 또 서해교전 전사자들의 추모행사가 정부 행사로 격상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9일 보훈처 업무보고에서 "대한민국의 독립과 국가를 지키기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높이 받들고 국민적 추앙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가의 할 일이고 선진국에서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보훈처는 업무보고에서 "친일 귀속 재산 중 매각이 가능한 토지부터 올해 처분해 영주귀국 독립유공자 후손 정착지원, 독립유공자 기념사업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귀속된 토지는 305억원 규모이지만 이 가운데 177억원대의 토지에 대한 소송이 진행되고 있어 연내 매각규모는 187필지(55만8,000㎡), 128억원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2002년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 북한군과 교전으로 전사한 해군 장병 5명에 대한 추모행사(6월29일)가 올해 처음으로 정부 주관으로 격상되며 방송을 통해 생중계되고 일반 국민의 행사 참여도 가능해진다. 보훈처는 "부상자와 희생자 유족에게는 명예를 선양하고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현역 군인에게는 사기앙양과 국가수호 의지를 공고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차원에서 정부주관으로 추모식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내년 안중근 의사 의거 100주년(10월26일)을 기념해 현재 서울 남산에 있는 지상과 지하 각 2층 규모의 기념관을 허물고 150억원을 투입해 재건립하기로 했다. 올해 2,560명 규모의 제대군인 취업지원 대상을 오는 2012년 4,500명으로 늘리는 한편 2012년에는 중ㆍ장기 복무 제대군인 6,000여명 가운데 75%를 취업시킬 계획이다. 보훈처는 이밖에 "제3차 진료기능을 담당하는 보훈중앙병원을 2010년까지 건립할 방침"이라며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국가유공자의 편안한 안식을 위해 다음달 국립이천호국원을, 2011년까지 국립산청호국원을 각각 완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