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통계청 '한국사회지표' 발간

통계청 '한국사회지표' 발간 소득 4% 늘었는데 지출은 12%나 증가 통계청은 27일 인구, 가족, 소득과 소비, 노동,교육 등 13개 분야별 각종 통계자료를 담은 `2000년 한국의 사회지표'를 발간했다. 분야별로 달라진 국민들의 생활상을 소개한다. ▦교육= 올 4월 현재 학생비율은 인구 4.4명당 1명이며 대학생은 17명당 한명꼴이다. 교사 1명당 학생수는 고등학교가 19.9명으로 가장 적고 대학교는 교수 1명당 47.8명으로 가장 많다. 초등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는 35.8명이다. ▦인구= 지난 99년 7월1일 기준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4,686만명이며 이중 남자가 2,362만명, 여자는 2,324만명이다. 전체 인구의 46.1%인 2,160만명이 수도권지역에 살고 있다. 99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연령은 32.6세로 70년에 비해 8.6세가 늘었고, 97년 기준 평균수명은 74.4세로 70년보다 12.1세 늘었으며 노령화 지수도 4.4배 상승했다. ▦가족= 초혼연령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99년 기준 남자 29.1세, 여자 26.3세였으며 이혼 및 재혼연령도 계속 상승, 결혼생활이 긴 부부의 이혼이 많아졌음을 보여줬다. 맞벌이 가구중 50.2%는 가사노동을 부부가 분담하나 37.8%는 부인이 전적으로 가사를 돌보고 있었다. ▦소득.소비= 국내총생산(GDP)은 99년 483조8,000억원(명목)으로 98년에 비해 8.9% 늘었으나 GDP 대비 민간최종소비지출 및 민간저축률은 모두 하락했다. 99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1,021만원으로 전년대비 8.3% 증가했으나 민간 최종소비지출은 270조원, 민간저축률은 24.2%로 전년보다 7.7%와 0.2%포인트가 각각 감소했다. 99년 도시근로자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22만원으로 전년보다 4.3% 증가했고, 가계지출은 173만원으로 전년보다 12.6%, 소비지출은 13.5% 늘었다. ▦노동= 99년 노동가능인구는 3,577만명으로 전년보다 1.1% 증가한 반면 경제활동참가율은 60.5%로 98년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55세 이상 고령 취업자수는 335만1,000명이었고, 고용보험 적용 사업체수는 60만개로 98년에 비해 무려 50.3%가 늘었다. 주당평균근로시간은 47시간54분으로 전년에 비해 2시간 증가했는데 주당평균근로시간은 80년 이후 계속 감소하다 지난해 처음 증가한 것이다. ▦보건= 99년 쌀소비량은 비농가의 경우 하루 253g으로 전년대비 2.2% 줄었고,90년과 비교하면 17.5%나 감소했다. 같은기간 쇠고기 소비량은 103.5%, 돼지고기는36.5%, 달걀은 7.6% 증가했다. 성인인구중 흡연인구는 35.1%로 10년전인 89년에 비해 4.2%포인트 감소했다. ▦주거.교통= 주택보급률은 80년 71.2%를 기록한 뒤 감소추세를 보이다 신도시건설에 따른 공급확대로 88년이후 증가추세를 보여 99년에는 93.3%에 달했다. 자가용 1대당 인구는 90년 22.5명에서 99년 6.2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99년 도시가구당 한달 평균 교통비는 16만7,000원으로 총소비지출액의 11.3%를 차지했다. ▦정보.통신= 99년 정보통신관련 연구개발비는 전년보다 36.5% 증가한 6조5,721억원에 달했다. 이동전화 가입자수는 매년 급증, 99년 2,344만3,000명에 달했으나 무선호출 가입자수는 321만2,000명으로 전년에 비해 65% 감소했다. ▦복지= 2000년 정부예산중 사회보장 및 복지부문 예산은 8조740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32.3% 늘었다. 의료보험 적용인구는 4,475만1천명으로 전인구의 95.5%며 연간 의료보험 총급여비는 7조7,880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15.9% 증가했다. 99년 국민 1인당 연간 의료보험 부담액은 14만1,000원, 급여비는 연간 17만4,000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9.5%와 15.2%가 증가했다. 전용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