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산은 LG카드지분확대 추진] “공동관리 꼭 성사” 고육책

`산업은행의 지분을 늘려서까지 부담을 줄여준다면 대승적 차원에서 공동관리에 참여해야 하는 것 아닌가`(금융당국ㆍ채권단)-`감자당할 것을 뻔히 알고도 출자전환을 한다면 업무상 배임의 소지가 있어 지원이 어렵다`(공동관리 반대은행). LG카드 처리문제가 산업은행의 지분참여 비율을 높이는 쪽으로 논의되면서 다시 새로운 국면을 맞았지만 금융당국과 공동관리에 반대하는 일부은행간 팽팽한 막판 `기(氣) 싸움`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LG카드는 유동성이 한계가 부닥치고 있어 또다시 현금서비스중단사태가 터지는게 아니냐는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누더기` 정상화 방안=금융당국과 채권단은 공동관리에 대한 일부 은행들이 계속 반발하자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부담을 더 늘리는 방식으로 최종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현 상황에서 판을 깰 경우 금융시장 전체로 볼 때 무려 26조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파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 어떻게 든 공동관리를 성사시키겠다는 `고육지책`인 셈이다. 금융당국은 더 이상 양보할 카드는 없는데다 대다수 채권금융기관이 회생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다소간의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공동관리에 협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진표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과 이정재 금융감독위원장이 이날 “LG카드 문제가 오늘 내일 중 해결될 것”이라고 연이어 발언한 것도 조기(?)에 사태를 해결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으로 풀이된다. ◇국민ㆍ조흥 등 `막판 장고(長考)`=이처럼 정상화 방안이 거듭 수정되고 있지만 일부 은행은 경영을 책임지는 주인이 있어야 앞으로의 기업가치가 훼손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공동인수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이날 오전, 오후 장시간 임원회의 등을 열어 이 문제를 논의했으나 또다시 결론을 내지 못하는 등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한 은행의 경우 법무법인에 자문을 구한 결과 `감자당할 것으로 알고도 출자전환할 경우 업무상 배임의 소지가 충분하다`는 답변까지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금융권 일각에서는 이들 은행이 최대한 버티면서 지원금액을 줄이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어 부담을 일부 덜어 줄 경우 막판에 극적으로 합의에 이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LG카드의 한 고위관계자는 “현재 자금수급에 여유가 없는 상황이어서 현금서비스 수요가 몰릴 경우 언제든 서비스가 중단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