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배아줄기세포 연구 논란 지속

정진석 대주교 "인간배아 파괴하는 일종의 살인 행위"<br>황우석 교수 "가톨릭 지도자 만나 연구 이해 구하겠다"

배아줄기세포 연구 논란 지속 정진석 대주교 "인간배아 파괴하는 일종의 살인 행위"황우석 교수 "가톨릭 지도자 만나 연구 이해 구하겠다" 최수문 기자 chsm@sed.co.kr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정진석 대주교가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면담요청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나타냄에 따라 줄기세포 연구 논란이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12일 보도자료를 내 "정 대주교께서 가톨릭계 지도자를 만나겠다는 황 교수님의 의견에 기꺼이 화답해 직접 만나서 의견을 나누기를 원하신다"고 밝혔다. 서울대교구는 더 나아가 "황 교수의 연구 전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존엄성의 파괴가 우려되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반대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앞서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정진석 대주교는 11일 성명서를 내고 "황 교수의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일종의 살인과도 같다"고 주장, 파문이 확산될 기미를 보였다. 그러나 '줄기세포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 휴스턴을 방문 중인 황 교수는 이 같은 소식을 전해 듣고 11일(현지시간) "필요하면 가톨릭 지도자들을 만나 이해를 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적극 대화의지를 표명했다. 황 교수는 "내가 만든 것은 생명이 될 가능성이 없는 줄기세포"라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그는 이어 "브라질의 경우 가톨릭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나를 애원하다시피 불러들여 강연을 듣고 수많은 정치가들과 학자ㆍ언론인들이 지대한 관심을 표명했으며 스페인 역시 가톨릭 국가이면서도 줄기세포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가장 앞서나가는 국가 가운데 하나가 됐다"고 외국 여론의 흐름을 전하기도 했다. 천주교와 황 교수측이 대화를 통해 일단 갈등을 봉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논란이 쉽게 가라앉을 것으로 예단하기는 어렵다. 천주교 외에도 기독교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역시 복제인간 탄생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고 국내 유학계를 대표하는 최덕근 성균관장은 "생명을 희생시켜 인위적으로 장기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자연의 도리에 위배된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윤회설을 믿는 불교계에서는 아직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지난 1월 발효한 생명윤리법에 대해서도 국내 20여개 종교ㆍ의료단체가 참여한 생명윤리운동협의회가 인간존엄성을 파괴한다며 헌번소원까지 제기한 상태다. 이에 반해 일반국민들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갖고 있다. 과학기술부가 현대리서치와 함께 지난 3월 전국 2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전체의 57.7%가 생명공학연구를 위한 난자제공에 찬성했다. 한편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대안으로 종교계가 내세우고 있는 것은 성체줄기세포 연구다. 이날 천주교가 내놓은 보도자료에서도 "윤리적인 문제가 없는 성체줄기세포 연구를 강조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흡영 강남대 교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난치병 치료 등 인류에게 큰 혜택을 줄 수 있지만 인간복제 등 생명의 난개발로 이어질 위험성도 안고 있다"며 "구제적이고 합리적인 보안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5/06/12 18:20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