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펀드 운영 급물살… 추가지원 가능성

■ 한은 채권안정펀드에 최대 5兆 수혈<br>지원 대상에 産銀도 포함…연기금은 제외키로<br>내달 본격가동땐 중견기업등 자금난 완화에 도움<br>시장선 "10兆 규모론 미흡"…2·3차 조치 기대


한국은행이 채권시장안정펀드에 최대 5조원을 지원하기로 함에 따라 펀드 운용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채안펀드가 오는 12월부터 회사채나 금융채 매입에 나서게 되면 신용등급 BBB-인 15개 안팎의 중견 건설사를 비롯한 기업의 자금흐름이 일정 부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번 조치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경우 2차, 3차의 추가 증액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 최대 5조원 지원=한은은 총 10조원 규모의 채안펀드에 공급하는 금액을 펀드 규모의 50%인 최대 5조원으로 한정했다. 즉, 펀드 규모가 8조원으로 줄어들 경우 4조원만 지원하겠다는 얘기다. 지원 대상은 은행과 보험사ㆍ증권사를 비롯해 산업은행도 포함됐다. 금융위에서 밝힌 대로 산업은행에서 2조원을 출자할 경우 한은이 산금채를 매입하는 등 1조원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단, 연기금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만약 연기금이 채안펀드 출자에서 빠질 경우 한은이 5조원을 대고 나머지 중 산은이 1조원, 은행ㆍ보험ㆍ증권이 4조원를 갹출하게 된다. 지원은 펀드에 출자하는 금융기관이 들고 있는 국고채나 통안증권을 한은이 매입하는 ‘상대매매’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컨대 A은행이 1조원을 출자하면 이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국고채를 사들이거나 통안증권을 중도 환매하는 방식으로 출자 금액의 50%인 5,000억원을 지원하는 식이다. ◇채안펀드 운영 급물살 탈 듯=세부안이 확정되고 펀드가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위해서는 10~15일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이다. 우선 금융기관 중 누가 펀드에 참여할 것인지와 참여기관 간 출자금액 분담방안 등이 결정돼야 한다. 또 금융위에서 “연기금의 자발적 참여는 허용하지만 협조나 펀드 참여 등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만큼 연기금과의 커뮤니케이션도 필요하다. 자금조성 과정을 마친 뒤에는 펀드 형태와 위탁 운영기관을 선정하는 절차가 남아 있고 운영자는 어떤 기준으로 무슨 채권을 매입할지도 정해야 한다. 매입 대상은 우량하지만 일시적으로 자금난에 빠진 회사채와 금융채가 거론된다. 특히 자금시장의 뇌관인 신용등급 BBB- 중견 건설사의 경우 신용보증기금이나 기술보증기금을 통해 신용을 보강한 뒤 집중 지원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의 한 관계자는 “프라이머리CBO, 우량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여전채 및 할부채, 회사채 등이 우선 검토 대상”이라며 “필요한 경우 자구 노력을 전제로 기타 채권도 매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차, 3차 채안펀드 증액될까=채안펀드가 본격적으로 운영되면 금리가 하락하고 자금줄이 막힌 중견기업과 금융권의 자금난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진모 SK증권 연구원은 “당장 회사채 금리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는 과정에서 부실이 다른 기업으로까지 전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1차분으로는 시장 기능을 회복하기에 미흡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신용경색을 일부 완화할 수는 있겠지만 그 자체로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좀더 충분한 수준의 유동성 공급이 추가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신동준 현대증권 채권분석팀장도 “시장에서는 적어도 지난 1999년 대우채 사태 당시인 30조원 수준의 펀드 규모를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금융위의 한 관계자는 “채안펀드 10조원은 1차분 이야기지 전체 규모를 말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추가 조성 가능성을 내비쳤다. 한은 관계자도 “앞으로의 시장 상황을 감안해야겠지만 대우채 사태처럼 펀드 규모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